![두산중공업 애저 디지털 트윈 적용 사례. [사진: 한국마이크로소프트]](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02/263042_222313_4547.jpg)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물리적 환경처럼 똑같이 가상 데이터로 구현하는 ‘애저 디지털 트윈(Azure Digital Twins)’을 4일 공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애저 디지털 트윈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애저’가 제공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솔루션으로 실재하는 환경과 자산을 디지털 환경에 접목해 사람, 장소, 사물 간 복잡한 상호작용을 추적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디지털 R&D와 엔지니어링을 통해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연결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해 발생 가능한 사건들을 미리 예측, 최적의 기업 환경을 설계할 수 있다. 생산, 운영, 서비스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새로운 형식과 솔루션을 제시해 디지털 혁신을 가능케 한다.
일례로 기업은 애저 디지털 트윈을 통해 소비자가 갖고 있는 과거 다양한 패턴을 추적하고, 이에 기반해 미래 환경을 설계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게 마이크로소프트 설명이다.
이 같은 과정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 모델링 언어를 활용해 실시간 실행 환경을 IoT 또는 업무용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에서 시작된다. 이후 분석과 데이터베이스로의 출력 과정을 거쳐,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를 통해 건물, 공장, 농장, 에너지 네트워크, 철도, 경기장 등 도시 전체를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강조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제조 분야 디지털 트윈 도입 사례도 소개했다. 지난해 두산중공업은 마이크로소프트, 벤틀리시스템즈와 풍력 부분에서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시범 개발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이를 통해 두산중공업은 기존 설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세대 풍력발전 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솔루션은 실시간 및 과거 IoT, 날씨, 기타 운영 데이터를 물리 및 머신러닝 기반 모델과 결합해 생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두산중공업 디지털 이노베이션 장세영 상무는 "애저 디지털 트윈, IoT 허브, 그리고 벤틀리시스템즈 아이트윈(iTwin) 디지털 시각화 모델을 통해, 즉시 사용 가능한 빌딩 블록들을 활용하고 풍력발전기의 가상 모델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었다"며 “이를 통해 두산중공업은 기술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오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다른 기업들과 협력해 디지털 트윈 컨소시엄을 공동 설립했다. 컨소시엄에는 기업, 정부 기관, 학계에서 170여개 회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