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공유 전기 자전거 서비스가 지자체에서 영역을 넓혀가는 모양새다. 전기 자전거는 전동 킥보드와 비교해 안전사고 위험이 적은 편으로 간주돼 지자체와의 협력에 진입 장벽이 낮다는 게 강점이다.

공유 전기 자전거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곳은 나인투원이다. 2018년 설립된 나인투원은 전기 자전거 ‘일레클’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과 세종, 김포, 부천, 제주 등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지난해 12월 세종시에서 운영 지역을 확대하고 200대를 추가 투입했다.

이어 올 초에도 김포시에서 정식 운영을 시작하고 운행 대수 역시 기존 200대에서 300대로 늘렸다. 현재 전국 각지에서 2500대 수준으로 기기를 운영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카카오모빌리티도 공유 전기 자전거 서비스인 '카카오 T 바이크'를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 인천, 전주, 울산 등에서 3000대 규모로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이동 수요가 주는 만큼 이용 활성화 일환으로 2월 중순까지 일부 지역(전주시, 인천시 연수구·서구)에서 기본요금 할인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민간 사업자가 어떤 지역에서 공용 자전거 사업을 하려면 지자체와 협력을 해야 한다. 자전거는 이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취지의 법률(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따로 있는데 지자체마다 상황이 다른 만큼 조례를 두고 운영한다. 법에 따르면 공공 자전거 대여소나 시스템 등 설치·운영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에 위탁할 수도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많은 사람이 타는 대중교통 이용을 자제하려는 추세가 나타나면서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수단(PM)을 빌려탈 수 있는 공유 서비스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졌다. 이런 점이 운영 지역 확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자전거는 특히 보험 등을 복지 차원에서 제공하는 곳들이 있어 자전거의 일종으로 취급되는 전기 자전거가 영역을 넓혀가기 유리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대표적인 PM인 공유 킥보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호응을 얻으며 이용이 확산됐지만 안전 사고, 주·정차 문제 등 민원이 잇따르고 있다. 지자체 입장에선 이같은 정책적인 부분들을 고려해 전기 자전거 서비스 도입에 눈길을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단 지자체에서 직접 공공 자전거를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는 등 상황은 조금씩 다르다. 민간 기업들이 일부 지자체와 협력해 운영 지역을 넓혀가는 가운데 서울시의 경우 시에서 직접 운영하는 공공 자전거 '따릉이' 이용이 활성화돼 있기 때문에 시 차원에서 공공 자전거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따릉이 총 대여 건수는 2370만5000건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6만4946명이 이용했으며 2019년과 비교해 24%가 증가했다. 누적 가입자 수는 278만6000명까지 늘었다. 역대 가장 많은 120만7000명이 새로 가입한 데 따른 결과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