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이스트시큐리티를 방문해코로나19 관련 재택근무 및 원격근무 활성화에 따른 랜섬웨어 등 사이버 위협 대응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01/260491_220904_5153.jp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 심각성을 알리고,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를 만들고, 대국민 정보보호 인식제고 및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기로 15일 밝혔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올해 랜섬웨어 대응 솔루션을 포함해 정보보호 제품 도입지원을 받는 중소기업을 1270개까지 지원하고, 전 국민 인터넷PC를 원격에서 보안 점검하는 ‘내PC 돌보미 서비스’를 확대 추진 중이다.
장석영 제2차관은 이날 랜섬웨어 대응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이스트시큐리티를 방문하고, 랜섬웨어 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방향에 대해 간담회를 개최했다.
코로나19 후 재택근무, 원격근무 등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와 함께, 랜섬웨어 등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정보보호 기업 현장방문 및 간담회를 추진하게 됐다고 정부 측은 설명했다.
먼저, 이스트시큐리티는 최근 랜섬웨어 위협 사례를 소개하면서 사이버 공격이 실생활까지 위협하고 있으며, 정보보호에 대한 투자 없이는 랜섬웨어 감염으로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음을 경고했다.
특히, 별도 정보보호 전담인력과 대응 장비 도입 등이 어려운 중소기업은 랜섬웨어 공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피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해 논의를 이어갔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이스트시큐리티, 안랩 등은 랜섬웨어 피해의 심각성과 예방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과 민간과 정부가 함께 대응체계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도 정보보호 인식제고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기업이 스스로 정보보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홍보 강화,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 구성 등 대응체계 강화의 필요성에 대해 뜻을 모았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코로나 후 급속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고, 정보보호 없이는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면서 “특히 국민과 중소기업 모두 랜섬웨어 피해의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게 홍보를 강화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대응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단독] 과기정통부, 새해 업무보고 ICT 핵심은? '디지털 뉴딜·포용'
- 정부, '한국판 뉴딜' 글로벌 확장 본격 시동
- 과기정통부, AI 반도체에 1253억 투자...전년 比 75%↑
- 과기정통부, NIA·SK(주)·더존비즈온 가명정보 결합전문기관 지정
- 과기정통부, ICT 중소기업에 보안제품 지원·실증 공간 마련
- 코로나19 전화 출입명부 민간 기업·기관도 쓴다
- 경찰청 교통범칙금 통지 위장한 스미싱 주의보
- 과기정통부, 5G 플러스 산업 활성화 본격 추진
- 안랩, 클라우드 보안 확키운다...스타트업들에 또 투자
- 안랩, 차세대 방화벽 트러스가드 고성능 모델 3종 출시
- "랜섬웨어 치밀한 계획에 따른 조직 범죄화"
- 안랩, 클라우드 MSP 시장 진출...보안 전진배치
- "로그4j 취약점 해결 장기화·IoT 공격 시도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