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01/259616_220438_227.jp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 SK주식회사, 더존비즈온을 가명정보 결합전문기관(이하 결합전문기관)으로 지정했다고 10일 밝혔다.
개인정보보호법령 및 관련 고시에 따라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결합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지정계획을 지난해 9월 28일에 공고하고 서면심사와 현장점검 등 지정심사를 거쳐 3곳을 최종 확정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지정된 결합전문기관은 결합신청을 받아 가명정보를 안전하게 결합해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익명·가명처리한 후 결과물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결합전문기관 지정을 통해 이종 분야간 데이터의 융합을 촉진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혁신 서비스나 기술이 개발될 수 있을 전망이다.
NIA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데이터 댐의 주요 사업 수행 기관으로서, 다양한 가명정보 결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데이터 댐의 성공적 구현을 뒷받침해 나갈 예정이다.
SK주식회사는 정보통신 인프라 및 인적자원을 기반으로 교통·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융복합 서비스와 가치를 창출하고, 중소기업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을 하고 있는 더존비즈온은 기업맞춤형 서비스 분석 등을 통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정부,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공공데이터와 민간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지 사각지대 해소 등의 공공목적부터 상권 분석,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개발 등 다양한 가명정보 결합 및 활용 사례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공공과 민간분야에서 역량 있는 결합전문기관을 지정함으로써, 창의적이고 다양한 가명정보 결합 아이디어를 발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안전한 가명정보 결합과 활용이 디지털 뉴딜과 데이터 댐 사업의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확산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개인정보위-과기정통부, 가명정보 결합 활성화 협력 맞손
- 공공데이터 개방 위한 가명정보 결합 지원기반 마련
- 파수, 금융보안원에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공급
- 파수, KISA 가명정보 결합 처리 시스템 사업 수주
-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8월 5일 시행
- 사회복지·투표 등 공공부문에 블록체인 적용...올해 531억 투입
- 과기정통부, AI 반도체에 1253억 투자...전년 比 75%↑
- 과기정통부, 민·관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 구성
- 더존비즈온, 작년 매출 첫 3000억원 돌파..."신규 사업 호조"
- 더존비즈온, 한화생명보험과 디지털 금융 서비스 협력
- 더존비즈온, 올해 중기부 비대면 바우처 지원 사업 시작...'홈피스 올인원팩' 출시
- 더존비즈온, ERP와 통합된 스마트팩토리 구축 솔루션 MES10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