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결제원. [사진: 신민경 기자]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금융보안원 등 금융 유관기관들 간 데이터 사업을 둘러싼 기싸움이 한창이다. 세 기관 모두 대량의 데이터를 보유한 만큼 수익으로 연결되는 사업모델을 만드는데 집중하는 모습이다. 다만 방식은 맞춤형 금융결제 데이터에 한해 비용을 받는다든지, 자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사용료를 받는다든지 제각각이서 누가 먼저 수익화에 성공하며 데이터 전쟁에서 승기를 잡을지 주목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결제원은 이르면 내년 1월 금융권 공동 데이터 플랫폼 구축 작업을 시작한다. 구축 목표 시기는 같은해 7월이다. 관련 행보로 다음달 중 데이터전문기관 지정을 목표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이 플랫폼은 금융결제원이 금융공동망 운영기관으로서 수집하는 금융결제 데이터를 분석·개방·결합하는 공유 인프라로 국내 전 은행과 공동 구축된다. 금융공동망을 통해 중계 처리되는 데이터는 연간 2350테라바이트(TB), 일평균 2억3000만건에 달한다. 금융결제원은 은행들과 금융결제 데이터 활용 모델을 발굴해 플랫폼을 향후 신규 서비스 발굴에 활용하겠단 계획이다.

데이터 개방 비용은 무료다. 다만 가명처리한 결합 데이터의 경우 유료화 가능성이 있다는 게 금융결제원 측 입장이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원칙은 무료 개방이며 당장은 수익화 생각이 없다"면서도 "보유 데이터를 결합해 핀테크 회사 등에 제공되는 맞춤형 데이터는 유료화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데이터 집중기관인 신용정보원도 데이터 개방 사업에 적극적이다. 신용정보원은 지난달부터 크레디비(CreDB)에서 맞춤형 신용정보 데이터베이스(DB)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크레디비는 자체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으로 지난해 6월 첫발을 떼 표본 신용정보 DB 위주로 제공해 왔다. 

맞춤형 DB는 기존보다 제공 항목을 늘리고 이용자의 연구 주제에 맞춰 데이터를 가공한 뒤 제공할 수 있게 개선된 게 특징이다. 신용정보원에 따르면 금융회사와 핀테크 회사 등은 DB를 활용해 비교 고객군과 자사 고객의 특성을 분석한다든가 대출정보와 보험정보 간 연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신용정보원은 추후 시스템 사용료 도입을 고려 중이다. 신용정보원 관계자는 "데이터 제공에 대한 비용은 별도로 받지 않을 계획이지만 크레디비의 분석 시스템 사용료를 별도로 걷을지는 현재 고민 중인 사안"이라며 "국세청이나 건강보험공단 등에서 운영 실비를 받는 사례를 참조했다"고 말했다.

11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데이터 거래소 개방 기념식이 열렸다. (사진=신민경 기자)
지난 5월 11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데이터 거래소 개방 기념식이 열렸다. [사진: 신민경 기자]

금융보안원은 기업들간 데이터 거래에 방점을 뒀다. 금융회사들이 데이터를 서로 사고 팔 수 있는 플랫폼인 '금융 데이터거래소'를 올 5월 출범했다. 

17일 기준 데이터 거래소에는 총 506건의 데이터가 올라 온 상태다. 금융·비금융사 88곳이 참여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카드사 등 민간 회사가 지역별 카드소비 데이터, 소득·지출·금융자산 정보, 행정동 단위별 성별·연령별 소득정보 등을 거래소에 등록해 놓으면 다른 기업과 연구소 등이 필요한 데이터를 골라 구매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금융보안원은 금융보안 전담기구인 만큼 다른 유관기관들에 비해 회원사의 회비에 대한 의존도가 크고 수익성을 꾀할 만한 기회가 많지 않다. 금융보안원이 데이터 거래소 수수료를 수익 모델로 삼을 것으로 읽히는 것도 이때문이다.

금융보안원 관계자는 "현재로선 활성화 취지에서 거래소 무료 운영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라면서도 "거래량과 금액이 지금보다 증가할 추후에는 거래소 수수료를 수입원으로 삼는 것을 고려 중이다"고 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오래 전부터 각 기관들의 신경전이 치열해 금융위에서 영역을 나눠줬지만 저마다 보유한 데이터량이 풍부해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피려는 움직임도 만만치 않다"며 "올 8월 데이터3법 발효 등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만큼 유관기관들의 데이터 경쟁도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