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안랩(대표 강석균)이 최근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를 겨냥, ‘불법 다운로드 위장 피싱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코드를 발견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공격자는 먼저 상용 소프트웨어 ‘크랙(Crack) 다운로드’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제작했다. 사용자가 유명 영상편집 및 그래픽 프로그램 제품명과 크랙 등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받기 위한 키워드를 합쳐서 검색하면 해당 피싱 사이트가 검색결과 상단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피싱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악성 압축파일이 다운로드된다
사용자가 피싱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 내부에는 정보유출 악성코드가 포함된 압축파일(.zip)과 텍스트(.txt) 파일들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압축파일을 푸는 과정에서 메모 패드에 적힌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PC에 정보유출 악성코드가 설치된다. 설치된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패스워드 정보 및 쿠키정보, 암호화폐 지갑 정보 등을 유출한다.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정품 SW 및 콘텐츠 다운로드 ▲의심되는 웹사이트 방문 자제 ▲OS 및 인터넷 브라우저, 응용프로그램, 오피스 SW 등 프로그램 최신 버전 유지 및 보안 패치 적용 ▲백신 프로그램 최신버전 유지 및 주기적 검사 등 보안 수칙을 실행해야 한다고 안랩은 권고했다.
안랩 분석팀 한명욱 주임 연구원은 “공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피싱 사이트를 제작해 악성코드를 지속적으로 배포하고 있다”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품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이용하고, 의심되는 웹사이트는 방문을 자제하는 등 기본 보안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키워드
#안랩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개인정보보호위, 보안 업계와 개인정보 톡톡릴레이 개최
- 포스코ICT-안랩, 스마트팩토리 보안 솔루션 사업 협력
- 디모아, 퍼블릭에이아이와 클라우드 기반 AI 교육 콘텐츠 제휴
- 안랩 V3, AV-테스트 기업 사용자 부문서 만점으로 인증 획득
- '중견기업 디지털연대' 뜬다...11개 국내 IT업체도 참여
- 안랩, SaaS 기반 보안 관리 솔루션 '안랩 오피스 시큐리티' 출시
- 채용 관련 문서 위장 랜섬웨어 유포 주의
- 금융앱 사칭해 금융 상담전화 가로채는 ‘카이시’ 악성 앱 주의
- 안랩, 전국 대림산업 건설 사무소에 ‘트러스가드 VPN’ 구축
- 안랩 V3 모바일 시큐리티, 누적 다운로드 1000만건 돌파
- 안랩 SOAR 플랫폼 세피니티에어 1.0, GS인증 1등급 획득
- 안랩 V3, ‘AV-테스트’ 기업 사용자 부문 종합점수 만점으로 인증 획득
- "악성코드 기술도 진화한다"...올해 주목할 5가지 보안 위협 트렌드
- 카카오톡 홈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 악성코드 주의
- 애플 실리콘 최초 악성코드 발견 "더는 안전지대 아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