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KB국민카드]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KB국민카드는 앱카드의 기능 개선을 통해 결제 편의성을 높이고 송금과 환전 등 여러 금융 서비스와 멤버십 기능을 추가한 종합 금융 플랫폼 'KB페이(KB Pay)'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KB페이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외에도 계좌와 상품권, 포인트 등 결제 수단을 등록해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네틱보안전송(MST), 근거리무선통신(NFC) 등의 결제 방식을 탑재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도 플라스틱 카드 수준의 결제 편의성과 범용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또 별도의 추가 앱을 설치하지 않고도 1개 플랫폼에서 계좌 간편 송금, 해외 송금, 외화 환전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멤버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는 여러 금융 서비스와의 유연한 연결을 위해 토큰과 클라우드 시스템, 오픈 API 등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초기 등록 가능한 결제 수단은 ▲KB국민은행 계좌 ▲해피머니 상품권 ▲KB국민 선불카드(기프트카드) ▲KB국민 기업공용카드 ▲KB국민카드 포인트이며 은행, 증권사, 저축은행 등 다양한 제휴 금융회사 계좌와 상품권∙포인트 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중심으로 등록 가능한 결제 수단을 계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B국민카드는 온∙오프라인 가맹점 결제 편의성도 한단계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가맹점의 경우 실물 플라스틱 카드 없이 ▲마그네틱보안전송(MST) ▲무선마그네틱통신(WMC) ▲근거리무선통신(NFC) ▲QR코드 ▲바코드 중 희망하는 결제 방식으로 할 수 있고 온라인의 경우 별도의 결제 앱 설치없이 PC에서 결제할 수 있는 '웹 페이(Web Pay)' 기능도 제공된다.

아울러 해외 결제의 경우 현재 유니온페이 오프라인 해외 가맹점에서 QR코드 방식으로 실물카드 없이 현장 결제가 가능하며 향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해 비자와 마스터카드의 해외 가맹점 결제와 자동화기기(ATM) 출금서비스도 추가할 예정이다.

이외에 KB국민카드와 제휴된 유니온페이와 비자의 해외 결제 네트워크를 통해 외화 송금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또 CU와 GS25의 멤버십 서비스가 제공되며 버스·지하철·택시 등 모바일 교통카드 기능도 이용 가능하다.

KB국민카드는 향후 학원비 등 원격결제 지원 서비스와 전자고지 서비스도 추가적으로 내놓는 등 금융과 생활 편의 서비스를 계속해서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기존 앱카드가 KB국민카드 고객을 위한 지급 결제 서비스에 중점을 뒀다면 이번 KB페이는 한층 강화한 지급 결제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에게 여러 금융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고 최적화된 디지털 금융 생활이 가능하게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며 "향후 확장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업종의 경계에 구애받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오픈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