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지난 9년 동안 발생한 보이스피싱 사건이 20만건 가량이고 피해액은 2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매일 보이스피싱 사건이 61건 발생해 7억4000만원의 피해가 생기고 있는 셈이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유동수 의원(인천 계양갑)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5709건이었던 보이스피싱 사기가 지난해 3만7667건으로 6.6배 급증했다. 피해 금액 역시 595억원에서 10.7배 증가한 639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보이스피싱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1만494건)이며 그 뒤로는 경기,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액도 서울(2082억원)과 경기, 인천 순으로 많았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 환급에 관한 특별법과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금융감독원, 법무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기관이 참여한 협의체 출범 이후에도 보이스피싱은 증가세였다고 유 의원은 설명했다.
유 의원은 "실제 협의체의 책임을 지고 있는 금융위원회는 신·변종 수법이 나타났을 때 경찰청·금융감독원과 함께 합동경보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 관계 부처 간 공조로 경보가 발령된 것은 두 차례에 불과했다"며 "보이스피싱 범정부 협의체 활동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보이스피싱에 대한 지적이 있었지만 금융소비자가 느낄 수 있을 만큼 개선되지 못했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금융당국의 잘 잘못을 꼼꼼히 따져 피싱사기 근절을 위한 실질적이고 보다 촘촘한 대책 마련을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국가 R&D로 보이스피싱 피해 막는다...대응 기술개발 사업 추진
- 보이스피싱 등 전자금융사기 대응 강화한다...관련 법 개정안 집중 발의
- '금융사기 맛집' 인터넷 전문은행...계좌 탐지시스템 구축 등 대책 시급
- '보이스피싱 꼼짝마!'...피해 예방부터 사후 수습까지 앱 활용법
- 보이스피싱 77% 대출 빙자형 피해... 50대 가장 취약
- 청와대 국민청원은 금융 민원실?...대출·공매도·피싱 등 하소연 가득
- 비대면 추석 연휴 금융사기 '비상'...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보
- "작년 출시된 통신 3사 스마트폰, 평균 58.3개 앱 선탑재"
- "샵(#)메일 이용실적, 예상치 0.14%…사실상 종료 수순"
- 학생부터 교사, 학부형까지 교육 현장 금융사기 '비상'
- 보이스피싱 대응 묘수를 찾아라...아이디어 짜내기 총력
- 공매도 금지가 올해 베스트 정책?...금융위 자화자찬 이벤트 '눈쌀'
- 금융사기 관련 정보라도 함부로 공유 안 된다...왜?
- 대형 금융회사 부실 대응 금융산업구조개선법 개정안 통과
- 금융소비자연맹 "불법 영업 만연 유사투자자문업 폐지해야"
- “금융투자업 인가체계 간소화 자본시장법 국회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