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파수]](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009/246811_213671_323.jpg)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파수(이하 파수, 대표 조규곤)가 데이터전문기관인 금융보안원에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애널리틱디아이디(AnalyticDID)’를 공급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 8월 5일부터 시행된 개정 신용정보법에 따라 신용정보회사 등은 기존에 수집해 보관하고 있던 개인신용정보 데이터를 특정 목적 하에 비식별 처리를 하면 정보 주체 동의 없이 상업적,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으며, 필요에 따라 금융위원회에서 지정한 ‘데이터전문기관’을 통해 제3자간 데이터 결합도 가능하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결합 및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데이터전문기관으로 금융보안원을 지정했다. 금융보안원은 결합의뢰기관으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결합하고 적정한 수준의 비식별화된 데이터로 변환해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전문기관 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추진한다.
파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가 데이터결합 종합관리 시스템에 이어, 금융데이터거래소와 연계해 데이터 결합 수요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융보안원 ‘데이터전문기관 시스템’에도 비식별 기술을 공급함으로서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에서 파수는 데이터 결합 및 가명·익명처리, 적정성 평가 수행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해 데이터 결합을 신청한 각 기관들의 목적에 맞게 데이터들이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결합 데이터 보호를 위해 결합키를 삭제하거나 연결키를 생성하는 기능과 최종적으로 완료된 데이터가 이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암호화 송수신 기능까지도 함께 제공한다.
파수 조규곤 대표는 “신용정보법 개정 이후 최대 규모로 추진하는 데이터전문기관 시스템 구축 사업에 파수 솔루션이 공급됨으로써, 추후 선정되는 데이터전문기관이나 데이터 결합전문기관, 비식별 솔루션을 검토하는 일반 기업들에게 좋은 레퍼런스가 될 것”이라며 “파수는 앞으로 각 기관들의 목적에 맞는 가명·익명정보들이 안전하게 생성되고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파수는 분석 목적에 맞도록 데이터 효용성을 유지하면서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가명화 및 익명화를 지원하는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인 애널리틱디아이디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국내 결합 전문기관들이 애널리틱디아이디를 도입해 데이터 결합 및 적정성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에도 채택됐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금융앱 사칭해 금융 상담전화 가로채는 ‘카이시’ 악성 앱 주의
- SK플래닛 시럽, 대출금리 비교 서비스 오픈
- 전자서명서비스 모두싸인, 42만 가입자 돌파
- 카카오 계열사 야나두, 300억 투자 유치..."2021년 상장 추진"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포닥 지원 프로그램 오픈
- LG유플러스, 유심 없는 통신모듈 첫 선
- 삼성, 투과형 디스플레이 탑재한 투명 스마트폰 특허 출원
- 하나은행, 1달로 시작하는 외화적금 출시
- KT, 원스톱 온라인 교육 플랫폼 구축
- NHN, 발달 장애인이 근무하는 사내 편의점 '굿프렌즈마트' 오픈
- 한국MS-웅진, 애저 클라우드 기반 SAP ERP 확산 협력
- 체크포인트코리아, 최원식 신임 지사장 선임
- MS 등 개인정보 국내 대리인 부실 운영한 해외 업체 7곳에 개선 권고
- 스패로우, 웹 취약점 분석 솔루션 프로모션
- 파수, 줌 화상회의 기능 탑재한 외부 협업 솔루션 공개
- 파수, 화면 보안 솔루션 GS인증 1등급 획득
- [디투피플] "데이터 3법은 시작...해외로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확대"
- 고스트패스, 블록체인 안 쓴 DID로 인증·주문 결제 통합 시장 도전
- 파수, 웹 콘텐츠 보안 솔루션 업그레이드
- 금융보안원, 11월 금융보안 컨퍼런스 온라인 개최
- 파수, 중소기업 비대면 업무환경 구축 바우처 제공
- 금융보안원, 사이버침해 위협분석 대회 '피에스타 2020' 시상식 개최
- 과기정통부, NIA·SK(주)·더존비즈온 가명정보 결합전문기관 지정
- 파수, VDI 환경용 화면 보안 솔루션 사업 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