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석환)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증명(DID)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사원증 도입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모바일사원증은 사원증 발급 및 출입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인증에 필요한 개인정보는 이용자 스마트폰에 암호화해 보관하기 때문에 기존 플라스틱 방식 사원증보다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KISA는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능과 QR코드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비접촉 방식 모바일사원증을 구현해 사무실 출입뿐 아니라 도서대출, 구내식당 이용 등 부가서비스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업무포털을 사용할 때 본인이 아니면 시스템에 로그인할 수 없도록 하는 2차 인증 기능을 지원해 내부 시스템에 대한 보안도 강화하기로 했다.
우수직원에 대한 포상을 KISA코인(가칭) 등의 방식으로 제공하고 사무용품이나 다과·음료를 모바일사원증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나갈 예정이다.
KISA는 모바일사원증을 오는 10월 말까지 나주본원에 우선 도입한 뒤 서울과 판교청사에도 올해 안으로 도입을 완료할 계획으로, 추후 기능개선 및 고도화를 통해 지역 공공도서관과 연계한 모바일회원증, 지역 유관기관 대상 비대면 신원확인 플랫폼 등으로의 확장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석환 KISA 원장은 “최근 확산하는 비대면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한데 DID는 이에 최적화된 맞춤형 기술이다”며, “공공기관 최초 DID 모바일사원증 도입을 통해 직원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하고 더 나아가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한 비대면 신원인증 서비스 등을 발굴하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SK텔레콤, 협력사 위한 '비대면 채용 박람회' 연다
- SKT, 유엔 '빅데이터 국제회의'서 코로나19 대응 사례 발표
- 넷마블 창립 20주년 기념 34호 '게임문화체험관' 개관
- 삼성전자, 삼성페이 특화 '삼성페이카드' 출시
- [블록체인핫이슈] 디파이 인기몰이...가상자산 시장 활력소 될까?
- "디파이 시대지만 디앱에도 여전히 기회는 있다"
- '누가 더 비대면으로 편리한가'...은행 '대출 갈아타기' 전쟁 2라운드
- 코로나 재확산에 게임산업진흥법 논의 지지부진...확률형 아이템 어떻게?
- 코로나發 소비 감소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가장 두드러져
- [단독] 과기정통부, OTT 활성화·디지털뉴딜 팔걷었다...전담팀 신설
- 한컴위드, 하나·기업은행과 데이케어센터 창업 지원 펀드 출시
- 코드박스, 주주총회· 이사회·법인 셀프등기 서비스 ‘주주 리걸’ 출시
- 게임 업체 스마일게이트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 건물 출입부터 금융 실명 인증까지...DID 서비스 상용화 잰걸음
- KISA, 암호모듈검증 전문가 양성 전문 교육 실시
- 핀테크 보안 우려 초장에 잡는다...KISA, 가이드라인 마련·컨설팅 지원
- '공인인증서 없어져 좋아질 줄 알았는데'...고민 깊어진 DID 업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