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해마다 4분기에 가족, 친구 등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 피싱이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또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의 피해 가운데 저신용자는 대출 빙자형 사기에, 고신용자는 정부 기관·지인 사칭형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2017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보이스피싱을 당한 피해자 13만5000명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를 10일 내놨다.
분석 결과 자금 사정이 어려운 서민들을 낮은 금리 대출로 유혹해 수수료 등으로 금전을 편취하는 대출 빙자형(76.7%) 피해가 정부 기관 또는 지인 사칭형(23.3%)의 3배 수준으로 많았다.
사칭형 피해 중에서 메신저 피싱은 해마다 4분기에 유독 많아지는 계절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2017년(491명), 2018년(3365명), 2019년(1914명) 모두 4분기에 메신저 피싱 피해자가 가장 많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기범 입장에서 현금화가 마지막 단계인데 추운 겨울에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인출책 등의 활동이 아무래도 움츠러들어 간편하게 소액 이체가 가능한 메신저 피싱이 많아지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피해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32.9%)가 가장 많았다. 40대(27.3%), 60대(15.6%)가 뒤를 이었다.
대출 빙자형은 50대(33.2%), 40대(31.4%)에서, 사칭형은 50대(32.0%), 60대(24.3%)에서 피해가 많이 발생했다. 메신저 피싱은 50대(41.6%), 60대(28.4%), 40대(16.5%) 등으로 50대 이상(74.5%)이 주로 피해를 봤다.
피해자 성별을 보면 남성이 51.6%, 여성은 48.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대출 빙자형 피해 비중은 남성(57.9%)이 여성(42.3%)보다 조금 높았고, 사칭형과 메신저 피싱은 여성(69.0%·70.6%)이 남성(31.0%·29.4%)보다 높았다.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대출 빙자형 피해에 취약했다. 대출 빙자형 피해의 경우 저신용자(7∼10등급)가 58.8%로 가장 많았고, 중신용자(4∼6등급)와 고신용자(1∼3등급) 피해는 각각 36.4%, 4.8%를 차지했다.
사칭형은 고신용자(65.1%) 피해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저신용자는 6.1%에 불과했다.
피해자들은 금융권에서 모두 2893억원(피해자 피해금 이체일 기준 3일 이내 받은 대출)을 대출받았다. 대출 빙자형 피해자(91.0%)의 대출금이 대부분이었다.
대출 빙자형 피해의 업종별 대출 비중은 카드사(29.1%), 저축은행(23.4%), 대부업(19.1%) 순으로 높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 빙자형 피해자의 경우 신규 대출 이용 금융사가 대부업에서 카드·캐피털 등 여신전문금융사로 이동하는 추세"라며 "최근 카드론 신청의 편의성이 높아진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칭형의 경우 은행(32.2%), 카드사(31.8%) 대출이 많았다.
금감원은 피해 취약 고객에 대한 금융사의 이상거래 탐지를 고도화하고 피해 고객의 신규 대출이 늘어나는 제2금융권(카드·여전사 등)의 대출 취급 시 보이스피싱 예방 문진 제도(비대면)를 강화할 방침이다.
키워드
#보이스피싱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금융당국 웹표준·웹접근성 강화 나섰지만...일부 사이트 여전히 미흡
- 보이스피싱 통지서 이젠 카톡으로 받는다
- 피싱사기와 전쟁 한달...진화하는 수법에 여전히 '속수무책'
- 금융보안원-안랩, 보이스피싱 예방·대응 위해 맞손
- 메가존 클라우드, 벤처기업협회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제휴
- 인터파크도서, 아침배송서비스 하루배송플러스 확대 시행
- 한글과컴퓨터, 스타트업 대상 한컴오피스 1년 무상 제공 프로모션
- 엔코아, 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인증 심사 기관 지정
-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플랫폼, 과기정통부 우수 R&D 혁신 제품 지정
- '보이스피싱 꼼짝마!'...피해 예방부터 사후 수습까지 앱 활용법
- '금융사기 맛집' 인터넷 전문은행...계좌 탐지시스템 구축 등 대책 시급
- 우리카드, AI로 보이스피싱 탐지...'페이크 파인더' 도입
- 공직자도 당하는 보이스피싱...입금받은 돈 송금했다가 범죄 연루
- 보이스피싱 때문에...은행 비대면 채널 확인 절차 강화
- 보이스피싱 등 전자금융사기 대응 강화한다...관련 법 개정안 집중 발의
- 보이스피싱 9년간 20만건...피해액 2조4000억 달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