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KT가 코로나19 확산예측 연구 얼라이언스 1기 활동을 마치고 그간의 연구 성과를 코로나19 방역체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보완하고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예측 연구 얼라이언스는 지난 3월 KT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과 함께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출범한 협의체다. ▲서울대 ▲건국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양대-국가수리과학연구소(수리연)가 참여했다.
KT는 자사의 유동인구∙로밍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고,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수리 모델링 등의 기술을 통해 참여 기관들과 코로나 19의 국내 유입 및 지역 내 확산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얼라이언스에서 진행한 코로나19 확산예측 연구는 '감염병 해외유입 위험도 예측'과 '국내 확산지역 예측' 등 크게 2가지 분야에서 이뤄졌다.
우선 해외에서 감염병 발병 시 국내유입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해 ▲KT AI/빅데이터서비스담당은 기계 독해 기술로 전 세계 코로나19 관련 뉴스기사에서 추출한 해외 감염병의 국내유입 예측 ▲KISTI 안인성 실장팀은 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자 예측 ▲서울대 황응수 교수팀은 '서울시의 코로나19 미확인 해외유입 환자수 추정' ▲한양대-수리연의 손우식 박사는 '코로나 19 국외 감염자 입국 예측'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또한 감염병의 국내 확산지역 예측을 위해 ▲건국대 정은옥 교수팀의 '정부의 비약물적 중재정책에 따른 감염재생산지수 및 유동인구 변화 분석' ▲KAIST 박주용 교수팀의 '코로나19 전파 경로 네트워크 분석' ▲KAIST 황의종 교수팀의 '유동 인구 감소 분석' ▲ KAIST 윤세영 교수팀의 '감염병 확산 예측 및 정책 평가 모델' ▲KAIST 이재길 교수팀의 '개인단위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모델'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KT와 과기정통부는 이번 나온 연구 성과를 코로나19 방역체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보완 및 고도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연구 얼라이언스 1기 운영노하우를 바탕으로 연구기관과 연구범위를 확대해 '코로나19 확산예측 연구 얼라이언스 2기'를 출범할 계획이다.
김채희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상무는 "이번 확산예측 연구 얼라이언스 1기 활동을 통해 얻은 연구성과를 K방역 강화에 활용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밖에도 KT는 해외 진출을 추진 중인 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GEPP)을 지속 고도화하면서 감염병으로 인한 글로벌 펜데믹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공공 겨냥 클라우드PC 동맹 뜬다...KT·한컴·티맥스·틸론·인베슘 '맞손'
- KT, 포스트 코로나의 미래상 담은 '코로나 이코노믹스' 발간
- KT, AI 솔루션 도입...비대면 시대 인터넷 품질 향상
- 11번가 "퍼블릭 클라우드로 인프라 전환"...개발자 100여명 신규 채용
- 힘받는 애플 모바일 결제 전략...스퀘어와도 일대일 격돌 예고
- KT, 아이패드 슈퍼체인지 출시...2년후 최대 50% 보상
- KT-KIND, 글로벌 데이터센터 개발 협력
- KT, 라이트펀드 지원 받아 코로나19 감염위험 측정 모델 개발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미개방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경진대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