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본부장 박종석)가 금융권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맞춰 우체국금융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하는 '차세대 종합금융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 규모는 2064억원으로 우정사업본부는 8월 3일 조달청에 입찰 공고를 내고 10월 중 사업자를 선정한다.
이번 프로젝트로 우체국은 고객 접점이 되는 채널시스템에서부터, 금융 인프라의 핵심인 계정계시스템(예금·보험 등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한다.
특히 계정계와 정보계 등 모든 금융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국내 금융권에서 코어 뱅킹인 계정계를 포함해 핵심 인프라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동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차세대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고객은 옴니채널을 통해 창구, 모바일 등 대면/비대면 채널 간 중단 없이 상담과 상품 가입이 가능하다. 머신러닝 기반 챗봇 도입으로 24시간 365일 상담서비스도 이용하게 된다.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상품을 추천받고 자산관리서비스 등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대면 채널로 우체국 방문 예약을 하고 비대면 채널에 고객 친화적인 UX/UI를 적용하는 등 고객 사용자 경험도 향상될 것으로 우정사업본부는 기대하고 있다.
직원도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 등 디지털 기술을 업무에 적용해 상담과 업무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종이 없는 디지털 창구로 서류작업도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박종석 우정사업본부장은 “대규모 사업을 준비하면서 투명하고 공정하게 사업자를 선정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차세대 금융시스템 구축으로 고객과 직원 모두가 행복한 우체국금융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디지털 뉴딜發 판커진 공공 클라우드 시장...국내 ICT 업계 총공세
- [핀테크핫이슈] 금융분야 AI·클라우드 적용 확산...P2P 규제는 강화
- '금융기능도 레고처럼'...힘받는 골드만삭스의 클라우드 전략
- "필요한 기능만 골라쓰자"...멀티 클라우드 지원 속속 등장
- 우본, 건설근로자 출퇴근 기록용 전자카드 8월3일 출시
- 우체국, 몽골에도 유로지로 해외송금 서비스
- 우체국, 다음달부터 방문소포 비대면 접수 서비스 운영
- 힘받는 애플 모바일 결제 전략...스퀘어와도 일대일 격돌 예고
- 코로나가 허문 금융과 IT의 경계...클라우드·AI 가속화
- 우체국예금보험과 함께하는 우체국 문화전 개최
- [인사] 우정사업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