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를 활용해 IoT 통신모듈의 동작 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 : LG유플러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007/242769_211570_5850.jp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LG유플러스는사물인터넷(이하, IoT) 단말에 대한 망 인증 절차를 개선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하 DX)플랫폼을 제공한다고 28일 밝혔다. 망 인증은 이동통신사별로 해당 통신망과 연동하는 IoT 솔루션이 상용화되기 전, 단말과 네트워크 간 발생하는 프로토콜 문제들을 대비하는 필수 절차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절차를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해 IoT 단말 제조사와 일하는 방식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는 ‘IoT 망 인증 전용 DX플랫폼’을 새롭게 구축했다.
DX플랫폼을 활용하는 경우 망 인증 기간이 1주이내로 대폭 단축된다. 지금까지 IoT 단말 제조사에서 테스트 환경을 준비하고, 문제 발생시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돼 통신사별로 IoT 망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평균 1~2개월 정도의 기간이 필요했다.
구체적으로 망 인증 DX플랫폼에서는 ▲원격에서 비대면으로 플랫폼 연동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정합성을 자동으로 시험할 수 있는 전용 장비 ▲망 인증의 진행 과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펌웨어 원격 업그레이드(FOTA) 서버 등을 제공해 IoT 망 인증 업무를 개선한다.
특히 LG유플러스는 IoT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말, 통신모듈, oneM2M 플랫폼, 서비스서버의 기능을 모두 재현해 실제와 동일한 환경처럼 테스트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emulator)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지원한다.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은 단말, 서비스서버, 엔드투엔드(이하, E2E) 3종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IoT 단말 제조사에서 IoT의 주요 기능 중에 하나인 ‘원격제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원격에서 명령을 지시할 수 있는 ‘서비스서버’가 필요한데, 에뮬레이터가 서비스서버의 역할을 담당해줌으로써 동작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합성 시험도 편리해진다. LG유플러스는 기지국 및 네트워크 장비와의 정상 연동 여부와 영향도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조사 전용의 ‘PCT (Protocol Conformance Test)’ 장비를 10월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망 인증 과정의 진행 사항과 결과도 웹사이트 상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IoT 단말 제조사는 망 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 사항을 온라인으로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높인다.
FOTA(Firmware Over The Air) 기능의 개발 비용도 절감한다. 이 기술은 IoT 단말에 내장된 펌웨어 등을 멀리 떨어진 곳에서 무선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말한다. LG유플러스는 망 인증에서 요구하는 필수 기능 중에 하나인 FOTA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개발 비용과 서버 구축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펌웨어 원격 업그레이드 플랫폼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언택트 시대 트렌드에 맞춘 DX플랫폼으로 망 인증에 필요한 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것“이라며 “편리하고 간편한 DX플랫폼을 통해 중소제조사에서 경쟁력 있는 모바일 IoT 상품을 출시하고 국내외 IoT사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U+tv, 중년층 대상 신규 채널 오픈
- LGU+ 프로야구앱, 한국선수 뛰는 경기 위주로 MLB 생중계
- LG유플러스, 주 3일 재택근무 도입한다
- LG유플러스, ‘우리가족상담팀’ 신설...유무선 고객상담 원스톱 해결
- LG유플러스,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팜 사업 추진
- LG유플러스, 스마트견사·묘사 구축...유기동물 입양 지원
- U+카카오내비에 AR 길안내 기능 도입
- LG유플러스, 펄어비스 '검은사막' 클라우드 게임으로 무료 제공
- 휴대폰 유통도 언택트 확산...LGU+, 온라인 가입 비중 확 키운다
- 드림콘서트 커넥트:D, U+영상회의 서비스로 팬미팅 지원
- LG유플러스, 미리 사고 할인 받는 'U+안심로밍'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