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 IBK기업은행 본점 모습  출처: IBK기업은행
지방이전설이 불거진 IBK기업은행 본점 모습 [사진: IBK기업은행]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정부와 여당이 행정수도 이전을 다시 추진하면서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 논의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말을 아끼고 있지만 정부와 여당의 지방분권화 의지가 강한만큼 추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와 여당이 국회, 청와대, 공공기관 등의 세종시 이전을 추진하면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의 이전도 추진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이에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등의 지방이전 방안이 검토된다는 소문과 일부 보도에 대해 “그런 방안은 검토된 바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국책은행 지방 이전설이 나온 것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 후 불거졌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회와 청와대, 정부부처 모두 세종시로 이전해야 서울·수도권 과밀과 부동산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며 행정수도 이전을 다시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이후 국회, 청와대 뿐 아니라 KBS, 서울대의 동반 이전설이 나왔고 다시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도 이전 대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 주장이 제기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2005년 노무현 정부가 지방에 혁신도시를 세우고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면서 공공금융기관들의 지방이전이 논의됐다. 이에 한국거래소, 기술보증기금 등이 부산으로, 신용보증기금 등이 대구로 이전했다. 

또 부산시는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후 국책은행들의 부산 이전을 주장하고 있다. 부산시는 여전히 수출입은행, KDB산업은행 등의 이전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공단 이전 후 제3 금융중심지를 추진하고 있는 전라북도도 국책은행 등 금융기관 이전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대구, 강원 등도 국책은행 유치를 원하고 있다.

지역의 관심이 높다보니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국책은행 지방 이전에 나서는 상황이다. 지난해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IBK기업은행 본점을 대구로 이전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중소기업은행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또 전북 지역 의원들은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전북으로 이전하는 법안을, 부산지역 의원들은 두 은행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올해 4~5월에는 KDB산업은행이 원주 혁신도시로, IBK기업은행이 대전, 수출입은행이 부산으로 각각 이전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당시 소문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점차 인식됐지만 최근 김태년 원내대표의 행정수도 이전 추진과 연루돼 다시 국책은행 이전설이 부상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국책은행의 지방 이전 가능성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 여당이 수도권 과밀해소와 지방분권화를 위해 행정수도 이전을 추진하려고 한다”며 “최대한 성과를 보이기 위해 국책은행 이전을 함께 추진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관계자는 “여러 지자체들이 국책은행 유치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은 그 자체가 민감한 문제”라며 “또 금융중심지인 서울시의 반대가 있을 수 있고 은행 노조의 반발도 예상돼 실제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국책은행 이전설과 관련해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행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후 올해 1월 IBK기업은행장으로 취임했다. 윤 행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의 신임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배경으로 인해 정부, 여당의 지방분권화 추진에 윤 행장이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다고 관측한다. 반면 윤 행장이 방파제 역할을 하면서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어떤 경우 든 윤종원 행장의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