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새벽 을지로입구역 터널에서 진행중인 5G 안테나 설치 공사를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과 관계자들이 참관하고 있다 [사진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007/242313_211362_3823.jp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이르면 7월 말 발표할 예정인 5G 품질평가에 대해 이통사 순위는 큰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그보단 5G의 정확한 품질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처음으로 공개되는 5G 품질평가는 커버리지 외에 이통사 품질 순위는 공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오전 12시 50분 심야 시간대에 지하철 5G 공사 현장을 점검한 장석영 차관은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5G 품질평가의 경우 7월, 늦어도 8월 초~중순까지는 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순위에 큰 의미를 둬야할 것은 아닌 것 같다. 정확한 품질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품질평가에서 각 이통사의 5G 커버리지는 공개할 예정”이라며 “5G 다운로드 속도 및 품질 등은 이통사의 순위 등을 공개할 지에 대해서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1년에 한번 12월 말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는 7월 서울과 6개 광역시 등 인구밀집지역에 대한 5G 품질평가와 11월 전국 읍·면·동까지를 포함한 5G 품질평가로 나눠 두 차례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통신 품질을 상·하반기 두번 나눠 실시 및 발표하는 것은 이통사의 투자가 하반기에 집중되기 때문에 이를 앞당기려고 한 것”이라며 “이통사 등 민간기업의 경우 11월에 이미 다음해 예산 계획을 설정한다. 연말에 진행했던 품질평가 결과를 이번에 11월로 앞당긴 것은, 정부의 5G 품질평가 결과가 다음해 이통사의 네트워크 투자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첫 평가 대상은 서울과 6대 광역시의 100여개 곳 또는 개소다. 곳은 일종의 행정동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명동 지역이 하나의 곳이다. 개소는 하나의 건물 등을 칭하는 것이다. 정부 설명에 따르면 개소의 경우 실제 이용자가 많이 쓰는 장소 중심으로 품질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가 제기한 평가지표는 ▲5G 서비스 제공지역(커버리지) ▲통신품질 ▲5G-LTE 전환율 등이다.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들은 상반기 2조7000억원 규모로 예정했던 투자 규모를 4조원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 투자비는 지하철과 철도, 백화점, 대학교 등 5G 인프라를 조기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실적 부진에 코로나19 이슈가 터지면서 네트워크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품질 평가 순위가 공개될 가능성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이통사들이 가장 신경을 쓰는 부문이다.
이날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수도권 2·9호선 및 광주·대구·대전·부산 지하철 노선에서 5G를 개통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지난 1월 광주광역시 지하철 전 노선에 5G 설비를 공동 구축하고 5G 서비스 개통을 시작한 이래 광주, 대구, 대전, 부산까지 비수도권 노선에서의 5G 설비 개통을 마쳤다.
이에 대해 장 차관은 “국민들이 제일 체감하는 장소, 제일 많이 이용하는 장소가 지하철이다. 그래서 지하철에서 5G가 잘 연결돼야 국민들이 5G를 체감할 수 있을 것 같다”며 “국민들이 보기에 조금 답답하다 느낄 수 있지만 지하철 같은 경우 시간 자체가 지하철 운행 종료된 다음에 해야 하고 제한된다. 안전도 신경써야 한다. 이통3사와 서울교통공사가 열심히 해서 국민들이 지하철 안에서 5G를 이용하고 체감할 수 있도록 빨리 노력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LG유플러스를 지목하며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사실상 압력을 넣고 있다. 화웨이의 보안 관련 문제에 대해 장 차관은 “정부에서는 5G 보안이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구체적인 기종 선정 이런 것들은 이통사가 여러가지로 고려해서 할 것으로 본다”며 “그 과정에서 (국민이) 걱정하는 보안에 위해가 없는 것들, 보안 협의회를 통해 보안을 중요시하고 있다. 정부가 보안문제는 관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이통사 "주파수 재할당 대가 1조7000억 수준이 적정"
- 이통3사 "하반기 3.5㎓ SA 모드 전환...28㎓ 대역은 시범 사업"
- 최기영 장관 "5G 투자세액 공제 확대 노력, 기재부와 협의 중"
- 이통사 격변의 7월...'과징금·M&A·공정위·5G평가' 이슈 폭탄
- 이통3사에 512억 과징금...역대 최대 감경률에 봐주기 논란도
- 다양해지는 MS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2세대 애저스택 HCI 발표
- 디지털 뉴딜發 판커진 공공 클라우드 시장...국내 ICT 업계 총공세
- 장석영 차관, G20 디지털경제 장관회의서 디지털뉴딜 정책 공유
- 조승래 의원 "5G 자급제 단말, 5G 요금제 강요는 문제"
- "화웨이 바꿔라"...美 공개 압박에 LG유플러스의 선택은?
- 통신 3사, 5G 인프라 공동 구축 속도 낸다...비용절감 폭 관심 집중
- 첫 5G 품질평가 결과 다음달 초 나온다...이통사 순위 공개 주목
- 이통3사 2분기도 '맑음'..."마케팅·설비투자 비용 줄여 이익↑"
- 첫 5G 품질 평가 '이변 없었다'...다운로드 속도 SKT·KT·LGU+ 순
- 하반기 5G 통신 품질평가 윤곽 나왔다...늦어도 내년 1월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