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올해 4월 제작한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물 [사진: 국가정보원]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정보원이 금융사기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대형 금융사기 사건이나 위조 지폐 대응은 물론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다는 관측이다.

21일 금융권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정원이 금융사기 대응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국정원은 올해 상반기 6차례에 걸쳐 카드뉴스를 제작해 홍보에 나섰는데 그중 5건이 금융사기와 관련된 것이었다. 국정원은 올해 1월 8일 위조지폐 유통방지와 관한 홍보에 나섰으며 4월 2일에는 코로나19와 관련한 금융 및 사이버사기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다시 4월 17일에는 보이스피싱 8대 사기유형과 예방 10계명 자료를 공개했다. 4월 23일에는 코로나19 관련 스미싱 피해예방 행동수칙을 발표했다.

2018년 6월부터 2020년 6월 2년 간 국정원은 14건의 카드뉴스를 제작했는데 7건이 금융사기에 관한 것이었다. 나머지는 테러 관련 2건, 국정원 소개 1건 그리고 마약, 산업보안, 방첩, 피랍방지가 각각 1건이었다.

국정원이 자신들과 관련됐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한 기사에도 금융 관련 내용들이 언급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12일 국정원은 은행 금융자동화기기(ATM)에 중국어 경고문을 붙인다는 기사에 등장했으며, 올해 4월 6일 세계적으로 피싱사기가 기승이라는 기사에도 언급됐다고 소개했다.

국정원은 금융권과 협력도 점차 강화하고 있다.   

국정원은 2018년 9월 은행연합회와 외화 위조지폐 피해 예방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후 2019년 1월 30일 국정원은 은행연합회와 함께 금융권 위조지폐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위폐전문가그룹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를 통해 국정원과 은행연합회는 은행 영업점에 외화 위조지폐 예방법을 전파하기로 했다. 또 지난해 6월 국정원은 은행연합회와 외화 위조지폐 피해 예방을 위한 가이드북을 발간했고, 9월에는 피해 예방 교육을 실시했다.

2019년 12월 국정원은 금융감독원, 경찰청, 은행연합회와 함께 외국인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한 홍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정원은 올해도 금융권과 협력해 다양한 금융사기 대응 활동에 나설 계획이었다. 다만 올해 초부터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상황을 고려해 회의, 교육 등을 자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1994년 설립된 국제범죄정보센터를 통해 국제 금융사기, 위조 지폐 적발 등의 활동을 펼쳐왔다. 과거 국정원은 중요한 금융범죄에 주로 관여해왔다. 위조 지폐 적발 역시 북한이 제작한 위조 지폐 대응이 주 업무였다. 보이스피싱, 스미싱 그리고 일반인 대상 금융범죄는 국정원보다는 경찰이 담당했던 영역이다.

그런데 최근 2~3년 사이 범위를 점차 넓히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대응도 국제범죄정보센터 업무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보이스피싱, 스미싱 범죄자 중 상당수가 해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국제 범죄조직도 관련돼 있다는 것이 명분이다.

정보당국 관계자들은 국정원이 수행하던 업무 중 국내 첩보 업무가 폐지되고 대북 업무도 방향이 변하면서 금융사기 대응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정원이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에 관한 조사, 예방, 대응, 정보수집 등이 앞으로 더 활발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