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의 중심 축인 데이터·인공지능·클라우드 분야의 올해 7개 추경 사업 설명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관련 사업들은 오는 7월 31일까지 공고되며 과기정통부는 8월 중에 선정평가를 거쳐 사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데이터 분야 사업 설명회 일정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먼저 데이터 분야 사업은 빅데이터 플랫폼과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인공지능(AI) 데이터가공바우처 등 3개 사업으로 3814억원이 투입된다. 20일부터 온라인 채널을 통해 통합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은 지난해 공모·선정한 10개 분야 외에 플랫폼 5개소와 센터 50개소를 추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터의 생산, 수집, 분석, 유통 등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 구축·운영을 위해 올해 약 385억원, 3년간 약 735억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공모 사업에서 선정된 기관·기업을 대상으로 연차평가를 거쳐 2∼3차년도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은 AI 개발에 필수적인 양질의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개방하는 사업이다. 총 150종(과제당 19.5억원)의 데이터셋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자연어, 헬스케어, 자율주행, 농축수산 등 주제 지정 데이터 132종 과제와 지역 수요를 반영한 데이터 6종 과제, 시장 수요에 맞는 자유주제 데이터 12종 과제에 대해 공모한다.

참여를 원하는 기관·기업은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지원하면 된다. 이 사업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는 인공지능 허브(www.aihub.or.kr)를 통해 개방·공유 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인공지능(AI) 데이터가공바우처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인공지능개발에 필요한 인공지능(AI)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와 13개 부처(16개 전문기관)간 협력을 통해 추진되며 이번 공모를 통해서는 총 587건(과제당 0.7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분야 사업 설명회 일정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분야에선 인공지능(AI) 바우처(560억원)와 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AI+X)(211억원) 사업을 공모 중이다. 

인공지능(AI) 바우처 지원 사업은 중소·벤처기업이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에 인공지능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0개 기업에 최대 3억원까지 지원된다.

구체적인 사업 설명은 20일부터 온라인(AI허브(aihub.or.kr), 카카오TV, 유튜브)을 통해 상시 실시하며 인공지능(AI) 바우처 전용 콜센터(1544-3816)를 통한 문의도 가능하다.

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는 경제·사회적 파급 효과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의료·국방·지역 특화산업 등 분야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컨소시엄당 7.5억원에서 최대 19.3억원을 지원한다. 온라인 채널(카카오TV, 유튜브)을 통해 상시 안내를 실시하며 질의에 대한 응답을 온오프라인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클라우드 분야 사업 설명회 일정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클라우드 분야도에서도 플래그십 프로젝트(250억원)와 클라우드 이용 바우처(80억원) 등 총 2개 사업을 공모 중이다.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사업은 제조・물류・헬스케어・교육・비대면 복지 5개 분야별 클라우드 인프라(1개)와 서비스(10개) 기업을 각각 선정해 컨소시엄으로 구성하고 해당 분야의 클라우드 서비스 고도화와 확산을 지원한다.

클라우드 이용 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디지털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전환비용, 이용료 등을 기업 당 최대 1800만원까지 400개 기업에게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한국판 뉴딜 계획의 핵심인 디지털 뉴딜은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원유와 같은 데이터의 수집·가공·활용, AI 기술 적용, 클라우드 도입 및 기술 고도화 지원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전 산업에 디지털 혁신을 확산시킴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데이터 경제를 가속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