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추현우 기자] 애플, 우버, 조 바이든,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 등 기업과 유명 인사의 트위터 계정이 탈취된 후 비트코인 사기에 악용당하는 전례 없는 규모의 대형 해킹 사건이 발생했다.
15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외신은 주요 IT 기업과 유명 인사 등 다수 트위터 계정이 정체불명의 해커에게 탈취됐으며, 이를 통해 비트코인 사기에 악용됐다고 일제히 전했다.
해킹된 계정은 애플과 우버를 포함해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제프 베조스 아마존 CEO, 빌 게이츠 전 MS 회장, 마이크 블룸버그 전 뉴욕 시장,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가수 카니 예 웨스트, 권투 선수 플로이드 메이웨더 등 수십 개 계정에 달한다.
![애플과 버락 오바마 트위터 계정에 올라온 사기 트윗 [사진: 레딧닷컴]](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007/241411_210887_394.jpg)
해킹은 단 5분 동안 일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경우 "지역 사회 환원을 위해 비트코인으로 기부를 받고 이를 다시 2배로 환급할 것"이라는 내용의 사기 트윗이 발송됐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계정에서도 1000달러를 기부하면 2000달러를 되돌려 주겠다는 내용의 사기 트윗이 올라왔다.
트위터는 계정 해킹을 확인한 후, 해당 계정을 긴급히 모두 비활성화시켰다. 아직 누구의 소행인지 등 명확한 해킹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다.
트위터는 해킹 사건에 대해 "갑작스러운 보안 사고가 발생했으며, 원인을 파악하고 조사 중이다. 곧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코로나19 시대 사이버공격 은행 리스크 부상"
- "카드정보 62만건 유출...138건 부정사용으로 1006만원 피해"
- '개인정보 유출' 메가스터디 과징금 9억5000만원...검찰 고발도
- '보이스피싱'과 전면전...고의·중과실 없으면 피해금 금융사가 배상
- 또 터진 금융정보 유출 3대 의문...'피해 규모·유출 경위·수사 주체'
- 신용·체크카드 정보 1.5TB 유출...경찰, 금융당국에 협조 요청
- 트위터, 24시간 이후 지워지는 '플릿' 30일부터 시범 운영
- "혐오발언 안돼" 레딧ㆍ트위치도…트럼프 관련 계정 잇단 제동
- 트럼프의 굴욕...트위터, '무력쓴다' 글 아예 숨겨버려
-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위터로부터 경고 딱지 받다
- 셀파소프트, SAP HANA DB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 첫 선
- 두나무, 하반기 블록체인-핀테크, 부문 개발자 채용
- "내부에서 뚫렸다" 트위터 해킹은 사회공학적 공격 탓
- 트위터 대규모 해킹 배후는 누구?...가상자산 업계 설왕설래
- 아마존 최대 할인행사 '프라임 데이' 연기...코로나19 탓
- EU "북한 조선엑스포가 2017년 워너크라이 배후"
- "악성 답글 이제 그만" 트위터 대화 직접 관리한다
- 은행 '디도스 악몽' 재발... 추가 공격 우려 확산
- 90세 맞은 워렌 버핏의 역발상, 일본 종합상사에 60억달러 투자
- 트위터, 美 대선 앞두고 정치인 계정 보안 대폭 강화
- 호텔스닷컴 등 글로벌 여행 사이트 사용자 계정 수백만건 유출
- 미 해킹 피해 비상..."MS도 러시아 추정 해커에 뚫렸다"
- 빌 게이츠 "화성 탐사보다 백신, 기후 변화가 더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