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최근 카드번호 도난 사건과 관련해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 등은 정보가 유출된 카드 61만7000개 중 138개(0.022%)가 부정 사용됐다고 3일 밝혔다. 61만7000개는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카드번호 가운데 중복과 유효기간 경과, 소비자 보호조치 완료 등을 제외한 수치다.
지난해 시중은행 해킹을 시도한 피의자의 압수물에서 대규모 개인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나와 경찰과 금융당국이 수사 공조에 나선 상황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경찰로부터 카드정보를 받은 금융사들은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을 즉시 가동해 소비자 피해 여부를 밀착 감시 중이다. 국민·신한·우리·KEB하나·비씨·삼성·현대·롯데카드와 농협·씨티·전북· 광주·수협·제주은행이 해당 금융사다.
금감원 관계자는 "FDS를 통해 점검한 결과 일부 카드의 부정 사용이 있었다"며 "현재 보호조치가 끝나 부정 사용 발생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카드번호 도난 사건의 부정 사용 피해금액을 1006만원으로 추정했다. 카드번호 유출 등과 관련한 사고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라 금융사가 전액 보상한다. 이번에 유출된 건수는 지난 2014년 카드사 정보 유출 당시 약 1억건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2019년 7월 카드 정보 도난 사건(56만8000건)보다는 많다.
현재 금융사들은 카드번호 도난에 연관된 카드의 재발급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카드 부정 사용 예방을 위해 온라인 결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꾸고, 금융사의 부정 사용 예방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달라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되풀이 되는 금융사고 원인은 "개인정보 유출"
- 국내 신용카드 정보 90만건 해외 암시장서 불법 거래
- 비씨 이어 롯데카드서도 부정결제 발생...카드사 책임은?
- 신용·체크카드 정보 1.5TB 유출...경찰, 금융당국에 협조 요청
- 퍼즐데이터, 신한은행에 프로세스 마이닝 솔루션 공급
- 롯데ON, 7일부터 ‘한시간배송 잠실’ 서비스...롯데리아 라이더 활용
- "코로나19 시대 사이버공격 은행 리스크 부상"
- 우리은행 '비밀번호 도용' 다음주 제재심...뒷북 징계 논란도
- "트위터 뚫렸다" 오바바·게이츠 등 계정 해킹...비트코인 사기 악용
- 금감원, 우리은행 과태료 60억 부과..."비밀번호 무단 변경"
- 여신금융협회, 제4기 서포크레딧 대학생 신용홍보단 발대식
- [금융권 사이버 공격史] NH농협부터 카카오·신한은행까지 줄수난
-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 "가맹점 수수료 합리적 재산정 노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