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으로 국세, 지방세, 과태료 등을 고지받고 납부하는 화면 예시 [사진:카카오]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카카오(대표 여민수, 조수용)는 행정안전부(장관 진영)와 ‘디지털 정부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공공서비스 이용 편의를 높일 방안을 찾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행안부와 카카오는 메신저 카카오톡을 활용해 읍면동 주민자치센터가 운영하는 다양한 교양, 전문 강좌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연내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카카오톡에서 공용 주차장, 구청 강당이나 회의실 등 공공시설도 예약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정부가 수강 신청, 공공시설 예약 관련 정보를 오픈 API 형태로 개방해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카카오는 이를 활용해 연내에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카카오톡에서 주민등록등본 등 전자증명서를 신청하고 발급받고 세금이나 과태료를 고지받아 납부하는 서비스도 내년 중 선보인다는 목표다.

이외에도 양측은 카카오가 보유한 인공지능(AI), 인증 관련 기술력과 이용자 경험에 기반한 디지털 서비스 역량을 활용해 공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공적마스크 재고 알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등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민관이 협력하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정부혁신을 추진하며 민간과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국민들의 공공서비스 이용 편의성 개선과 공공 업무 효율화를 위해 카카오의 기술과 플랫폼을 제공하고 행정안전부의 디지털 정부혁신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