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을 계기로 미국에서 인종 차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얼굴인식 기술을 경찰에 팔지 않겠다는 정보기술(IT) 기업이 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1일(현지시간) 얼굴인식 기술의 사용을 규제하는 법이 마련될 때까지 이 기술을 미 경찰에 판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브래드 스미스 MS 사장은 "우리는 인권에 기반을 두고 이 기술을 통제할 국가적 법률이 시행될 때까지 미국 경찰에 얼굴인식 기술을 판매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MS는 그동안에도 경찰 등 법 집행기관에 얼굴인식 기술을 공급할 때 자율적으로 제한을 두는 등 이 기술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왔다고 WSJ은 지적했다. 실제 이런 자체 제한으로 MS는 현재 미국 내 경찰에 얼굴인식 기술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스미스 사장은 밝혔다.
그는 지난해에도 대량 감시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캘리포니아의 한 경찰에 얼굴인식 기술 판매를 거절했다고 밝힌 바 있다.

MS의 결정은 전날 아마존이 1년간 경찰에 자사의 얼굴인식 소프트웨어 '레커그니션'(Rekognition)의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힌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아마존은 이 1년간 의회가 얼굴인식 기술을 윤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규제를 도입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이에 앞서 IBM 최고경영자(CEO) 아빈드 크리슈나는 지난 8일 의회에 구조적 인종 차별 방지와 정의를 요구하며 얼굴인식 사업에서 손을 뗀다고 발표했다.
얼굴인식 기술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얼굴 생김새로 사람의 신원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범죄자 식별 등에 쓰일 수 있지만 이 기술에 인종·성별에 따른 편견이 심어져 있다는 우려도 많다. 흑인이나 아시아인, 여성 등 백인 남성이 아닌 사람은 신원을 잘못 파악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일례로 지난해 8월 미국 시민단체가 캘리포니아 주의회 의원들의 사진을 경찰의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한 결과 의원 80명 중 26명이 범죄자로 잘못 판정됐고, 특히 그중 절반은 유색인종이었다.
[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IBM CEO "인종차별 가능성 안면인식 기술 제공 않을 것"
- 인종차별 시위 중 약탈한 아이폰, 영원히 사용 못해
- 시리, 구글 인종차별?..."백인 명령 더 잘 인식"
- 구글, 새시대의 선구자인가? 자본주의가 낳은 괴물인가?
- 트위터 6월 4주 차 화제 키워드 ‘인종차별’
- 디벙크, 해외송금 100% 환급 추첨 이벤트
- 애플, 인종 차별 반대 및 평등 기금 1억달러 쾌척
- 미국 듀크대, AI 이용해 "흐릿한 사진을 선명하게"
- 아마존 CEO, "美 청문회 출석 의향 있다"…증언대 설까
- 아마존, 프리미어리그 축구를 트위치에서 무료 중계
- MS, 안드로이드용 디펜더 ATP 보안 앱 선봬
- 얼굴인식기술의 한계...디트로이트 경찰 "오류율 96% 달해"
- 빅테크 CEO 호감도 팀 쿡 가장 높고, 저커버그 가장 낮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