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의 절반이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 이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블TV 가입자는 점점 줄고 있는 가운데, 매각 대상인 딜라이브와 현대HCN의 가입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KT와 KT계열(KT+KT스카이라이프)의 시장 점유율은 더 늘어 1위 자리를 유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종합유선방송(SO), 위성방송, IPTV의 2019년 하반기 가입자 수 조사·검증 및 시장점유율 산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6개월 평균 3360만1484명으로, 같은 해 상반기보다 57만명이 늘었다. 이중 IPTV 가입자 수가 1683만2979명으로 50.10%를 차지했다. IPTV 가입자 수가 5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O 가입자 수는 1355만7530명(40.35%), 위성방송 가입자 수는 321만975명(9.56%)이었다.
IPTV 가입자 수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SO 가입자보다 365만명 가량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7년 11월 IPTV 가입자 수가 SO 가입자 수를 처음으로 앞선 뒤, 가입자 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다.
유료방송 사업자별 가입자 수 조사에서도 IPTV 3사가 상위 1∼3위를 차지했다. KT가 737만7514명으로 시장 점유율 21.96%를 기록했고 SK브로드밴드가 509만864명(15.15%), LG유플러스가 436만4601명(12.99%)인 것으로 조사됐다. LG헬로비전이 400만4190명(11.92%), KT스카이라이프가 321만975명(9.56%)으로 뒤를 이었다.

KT와 KT스카이라이프 가입자 수를 합하면 약 1059만명(31.52%)이고, LG유플러스와 LG헬로비전의 가입자 수는 약 837만명(24.91%)이다. KT 및 KT계열의 경우 전년 하반기 및 올해 상반기보다 시장 점유율이 상승하며 시장 지배적 사업자의 위치를 굳건히 했다.
가입자 유형별로 보면 사업자와 계약을 맺어 하나의 서비스를 받는 개별가입자가 1658만9740명(49.37%)으로 가장 많았고, 다수 서비스를 받는 복수가입자가 1447만753명(43.07%), 입주자 대표 회의 등으로 단체 계약을 맺는 단체가입자가 254만991명(7.56%)으로 집계됐다.
과기정통부 뉴미디어정책과 관계자는 “이번 산정 · 검증 결과는 위성방송 수신만 가능한 예외지역의 가입자는 제외하는 등 시장점유율 규제 목적에 따라 산출된 결과”라며 “실제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총 가입자 수와는 차이가 있어 유료방송 사업자가 가입자 규모를 기반으로 계약 등을 체결할 때 활용하는 가입자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유료방송 추가 M&A?...SKT "티브로드와 시너지 창출 집중"
- '티브로드+SK브로드밴드' 합병법인 출범...올 매출 4조 목표
- 유료방송 M&A 2라운드... KT, 딜라이브 인수할까?
- 유료방송 채널 개편 횟수 확대 '쉽지 않네'... 정부 "다양한 방안 검토 중"
- KT, IPTV 가입자 부풀리기?... 과기정통부 통계와 약 100만명 차이
-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 폐지 옳을까?...KT IPTV 가입자만 연 50만명 순증
- 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 · NS쇼핑 5년간 재승인
- 과기정통부, 5G 특화사업 대상 선정…경남·광주에 95억원 지원
- [단독] 유료방송 채널 개편 확대 없던 일로?...과기정통부, 결정 미뤄
- 지난해 하반기 수사기관 제출 통신자료 285만5000여건…3.4%↓
- U+아이돌 라이브, '랜선음악여행-트립투케이팝' 생중계
- IPTV-케이블TV 최초 신작 영화 공동 VOD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