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오는 4월 21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국내 양대 포털 사이트가 뉴스 댓글 단속에 칼을 빼들었다. 두 회사는 공통적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악성 댓글을 막고 댓글의 순기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면서도 네이버는 기술 고도화에 방점을 찍었다면, 카카오는 이용자 참여를 강조하고 있어 누가 더 효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네이버는 지난 19일 연예 뉴스 댓글을 잠정 폐지하기로 한데 이어 강화된 뉴스 댓글 정책을 발표했다. 카카오도 지난 26일 뉴스 댓글 정책을 개편했다.

이번 개편으로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서 특정 댓글을 신고하려면 신고자는 댓글을 신고하는 이유를 여러 항목 중 선택해야 한다. 카카오는 기존 신고 항목에 욕설과 비방만 뒀지만 이번 개편을 통해 차별과 혐오를 이들 항목에 함께 추가했다. 네이버는 댓글 신고 시 욕설/비방 표현, 불쾌한 표현을 선택하도록 했다.

악성 댓글 신고창(왼쪽-다음, 오른쪽-네이버)

네이버 관계자는 “다른 이용자가 느낄 수 있는 차별과 혐오 표현은 불쾌한 표현에 포괄적으로 포함돼 있는 것”이라며 “이용자들의 신고에 더해 기존에 도입했던 클린봇이 차별과 혐오 표현에 대해서도 학습해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초 악성 댓글 필터링 AI 기술 ‘클린봇’을 개발해 같은 해 11월부터 뉴스 댓글 전반에 적용한 바 있다. 클린봇은 욕설과 비속어가 들어간 댓글을 탐지해 해당 댓글이 노출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블라인드 처리한다. 

네이버는 이번 개편에서 기능이 향상된 2.0 엔진을 클린봇에 도입해 단어 중심에서 문장 맥락을 고려한 판단으로 탐지 범위를 넓힌다고 밝혔다. 

두 포털은 악성 댓글 작성자에 대한 조치도 강화했다. 네이버는 AI를 바탕으로 작성자가 애초에 댓글을 쓰지 못하도록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특정 이용자가 악성 댓글을 작성한 후 등록 버튼을 누르면 부적절한 표현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악플이 지나칠 경우에는 욕설 표현 등을 수정해야 댓글이 등록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신고했던 댓글이 처리됐다는 내용을 통지함으로써 이용자가 서비스 내에서 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는 신고한 댓글이 삭제되면 결과를 알려주는 ‘신고 알림’ 기능을 도입했다. 또 이용자가 신고한 악성 댓글이 문제가 있다고 확인되면 해당 댓글을 삭제하고 작성자에 대한 제재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카카오는 이번 개편에서 댓글 영역 노출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접기’ 기능을 추가했다. 댓글 영역 상단에 생긴 ON/OFF 버튼을 이용해 OFF를 선택하면 댓글 영역 전체를 보지 않을 수 있도록 했다. ON을 다시 누르면 댓글이 보이게 하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댓글 작성자들에 대한 통계(성별, 연령)를 볼 수 있는 영역에 접기 기능이 적용됐다. 뉴스 댓글은 아웃링크(기사 클릭 시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 방식을 도입했으나 섹션별로 기사 댓글 제공 여부를 언론사가 결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