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지난해 큰 성장을 기록한 알뜰폰(MVNO) 시장이 올해도 그 기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지만 이미 알뜰폰 가입자가 1500만(IoT 포함)을 돌파한데다가 0원 요금제 같은 파격적인 상품이 등장하기 힘든 상황이어서 지난해 같은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알뜰폰의 경우 고객 서비스, 멤버십, 보이스피싱, 개인정보보호 관리 등이 약점으로 계속 지적되고 있다. 알뜰폰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망도매대가 인하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결국 투자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10월 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 현황 통계’에 따르면 휴대폰, 사물인터넷(IoT) 등을 모두 포함한 알뜰폰 회선은 1544만2924개로 직전 달(작년 9월) 1518만4393보다 약 26만개 늘었다. 지난해 10월(1246만2574개)와 비교하면 가입자가 약 300만명 증가했다.

MNO(이동통신) 1위인 SK텔레콤은 3145만8871개, 2위 LG유플러스 1868만7135개, 3위 KT 1775만9813개로 3위 KT와 알뜰폰 전체 시장은 적어도 회선 수에는 큰 차이가 없다. 

2018년 12월 798만9453개였던 알뜰폰 회선은 1년 뒤인 2019년 12월(774만9516개) 역성장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2020년 12월 900만개(911만1285개)를 돌파한 데 이어 2021년 12월에는 처음으로 1000만(1035만5077개) 시대를 열었다. KB국민은행 등 대형 금융기업의 등장과 알뜰폰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지원한 정부의 역할이 컸다. 특히 매년마다 인하되는 망도매대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알뜰폰은 특히 지난해 고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1월 1300만(1306만2190개)을 돌파한데 이어 매달 20~30만개씩 가입 회선이 증가됐다. MNO 가입자 늘리기 경쟁이 시작되면서 MNO 3사가 파격적인 리베이트(판매장려금)를 알뜰폰에 지급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탄생된 ‘0원 요금제’도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런 만큼 작년 알뜰폰 가입자 증가는 마케팅 효과 때문이지 알뜰폰 경쟁력 때문에 늘어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작년 2분기 출시된 ‘0원 요금제’ 일부 할인 기간이 종료되기 시작하면서 다른 요금제로 이동하려는 이들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전화 번호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알뜰폰간 번호이동수치는 19만1113건으로 전월(11월) 대비 4.1% 증가했다. 이는 2012년 알뜰폰 제도 도입 후 최고치를 기록한 11월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현재, 일부 0원 혜택 요금제가 존재하긴 하지만 1만원이 넘는 요금을 몇 천원 수준으로 낮춘 요금제가 대부분이다. 0원 요금제는 MNO 3사의 지원이 없으면 출시가 쉽지 않다.

최근 알뜰폰 도매제공 의무제도 상설화(전기통신사업법 일부 개정안) 법안 통과에 따라 올해 1년은 사전규제, 내년부터는 사후규제로 전환된다. (관련기사/[단독] 알뜰폰 도매제공의무, 사전규제 1년 후 사후규제로 전환) 쉽게 말해, 정부 주도의 망도매대가 인하가 올해가 사실상 마지막이라는 얘기다. 중소 사업자의 전파사용료 면제 역시 내년까지만 연장된 상태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알뜰폰 업계 역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 망도매대가 인하에 기대는 것이 아닌 서비스 등 알뜰폰 본연의 경쟁력을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고객센터 대응 시스템 미비 문제, 보이스피싱 등 위험성 논란, 멤버십 서비스 등은 알뜰폰의 단점으로 지적된다. 경찰청이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통신사별 대포폰 적발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중 알뜰폰은 1만2547건으로 2위 KT(4106건)와 비교할 때 차이가 크다. 이에 따라 이런 문제점을 먼저 개선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한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이 저렴한 요금제로 국민들의 통신비 인하에 큰 도움을 가져다 준 것은 맞다. 하지만 알뜰폰 대부분은 영세하기 때문에 당장의 영업이익에 급급할 수 밖에 없다. 언제까지 도매대가인하에 기댈 수 없기 때문에 투자를 더 진행해야 하는 것도 맞다”며 “다만, 금융권 대기업 진출이 본격화되면 대부분의 알뜰폰 업체들은 힘들어진다. 이에 대한 보호조치 또한 필요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