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김태림 기자] 정부와 민간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수수료 ‘0%’인 간편결제 플랫폼을 구축하며, 관련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 수수료 부담을 덜 수 있는 것은 물론 소상공인들이 중심인 지역 경제도 살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실효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22일 서울시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페이’가 오는 25일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서울페이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안을 발표한 후 올해 안에 서울페이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서울페이는 서울시가 소상공인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로 구축할 모바일 간편결제 플랫폼이다. 이를 위해 시는 이달 ‘서울페이 추진반’을 신설했다.

현재 알려진 바에 의하면 서울페이는 소비자와 판매자 간 신용카드 거래에서 생기는 카드사, 밴(VAN)사, PG사 수수료 발생 구간을 없애 0%대 결제 수수료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폰으로 가맹점의 QR코드를 스캔하면 고객 계좌에서 가맹점주 계좌로 현금이 이체되는 것.

서울시는 서울페이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도록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협력 중이다. 다만 아직 구체적으로 진행된 사항은 없다고 시 관계자는 전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지난 21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서울페이가 대한민국의 정책이 되고 있다”며 “‘원조페이’로써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하니, 이름도 서울페이에서 전국적 이름으로 고쳐 불러야겠다”고 말해 지역페이 통합을 암시했다.

서울, 경남, 고양 페이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별도로 추진하던 소상공인 결제시스템을 하나로 합쳐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전국의 모든 소상공인이 수수료 혜택을 보도록 통합형으로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실제 서울시 외에 인천·경남·전남·고양 등도 지역페이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자체마다 차이는 있지만 0%대 수수료 구현을 위해 서울페이와 비슷한 결제방식을 구현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원순 시장이 21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원조페이’로써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하니, 이름도 서울페이에서 전국적 이름으로 고쳐 불러야겠다”고 썼다.
박원순 시장이 21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원조페이’로써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하니, 이름도 서울페이에서 전국적 이름으로 고쳐 불러야겠다”고 썼다.

카카오의 카카오페이도 지난 5월 말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간편 계좌이체 서비스 ‘카카오페이 큐아르(QR) 결제’를 내놓았다. 지난해 9월 개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보인 송금 서비스를 응용, 결제수수료 0%를 구현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예컨대 판매자는 카카오톡 계정으로 카카오페이에 가입하고 은행계좌를 연결한다. 이후 카카오페이에 QR결제를 신청하고 가게 QR코드를 받는다. 소비자도 카카오톡 계정으로 카카오페이에 가입하고 은행 계좌를 연결한다. 결제시 가게에 비치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고 금액을 입력하면, 소비자의 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로 송금되는 방식이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한달여간 이 서비스를 신청한 소상공인 업체 수는 약 5만여곳에 이른다”며 “서비스를 신청한 소상공인에게 안내 스티커와 매뉴얼 등으로 구성된 QR결제 키트를 배송하는데, 키트 신청을 놓친 소상공인들을 위해 8월 12일까지 무료 신청기간을 연장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실효성이다. 정작 페이 서비스를 이용할 소비자에 대한 유인책이 빠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수수료 0% 페이 서비스가 신용거래가 아닌 충전식 결제방식이기 때문이다. 매번 충전하면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해, 불편을 감수하고도 사용할 만한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 중기부에 따르면 국내 결제서비스 점유율은 신용카드 54.8%, 체크·직불카드 16.2%, 계좌이체 15.2%, 현금 13.6%, 전자화폐 등 기타 0.2%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서울시의 서울페이 발표에서 이에 대한 대책이 나올지 주목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