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페이’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3선 시정 드라이브를 걸었다. 

지난 25일, 서울시는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제로 결제서비스`를 연내에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결제 수수료를 0원으로 만들어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의도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서울페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상생 의도는 이해하지만, 편리한 게 우선

대기업에서 B2B 관련 영업관리직으로 근무하는 하승연 씨(34)는 사용 편의성에 대한 의문을 던졌다. 

하 씨는 “지금 스마트폰으로 사용하는 페이로도 충분히 편하다”며, “스마트폰이 꺼져 있어도 결제가 된다”고 편의성을 강조했다. 그는 MST(마그네틱 보안 전송) 방식의 삼성페이를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갖다 대면 신용카드 정보가 전송돼 결제가 이뤄진다. 

덧붙여 그는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없다면 사용하기 어려울 듯”이라며, “서울페이의 사용 시 혜택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소비자의 서울페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소득공제율 40%를 적용하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현금영수증의 소득공제율은 30%이며, 중앙정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

현금 결제 방식 때문에 ‘서울페이’를 쓰지 않겠다는 소비자도 있었다. 선결제 후지불 방식을 선호하는 직장인 손동진 씨(26)는 “매달 카드 사용액으로 예산을 관리하고 있다”며, “현금은 급한 상황에 사용하기 위한 비상용이라서 소액이라도 카드를 쓴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 상품권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사진=전통시장 통통)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 상품권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사진=전통시장 통통)

서울시 공무원도 ‘서울페이’에 대한 반응은 비슷했다. 

익명을 요구한 김 모 씨는 “서울페이가 기존 카드사의 혜택을 넘어설 수 없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더했다. 

또 그는 “지금도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활성화 명목으로 사실상 강매당하는 상황”이라며, “서울페이도 서울시 공무원만 쓸 것”이라 말했다.

또 서울이 대한민국?

‘서울페이’ 정책 자체에 대해 불편한 시선으로 보내는 이도 있었다. 지방에서 교사로 근무하는 양준희 씨(29)는 관련 뉴스를 접하고, 지방은 해당사항이 없으니 관심도 없다고 밝혔다.

최근 그는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카페에 카드단말기를 설치하려고 고민 중이었다. 그러면서 QR코드와 같은 핀테크를 활용할 방법은 찾고 있었다.

양 씨는 “영세 사업자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서울시의 의도는 이해한다”면서, “서울에서 추진하면 다른 지자체도 따라 할 텐데, 서울과 지방은 환경이 다르다”고 우려했다.

‘서울페이’는 박원순 시장의 선거공약으로, 박 시장 이외에도 지역 이름의 ‘페이’ 정책을 공약한 당선 지자체장에는 김경수 경남도지사, 박남춘 인천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이재준 고양시장 등이다. 각각 ‘경남페이’, ‘인천페이’, ‘전남페이’, ‘고양페이’의 이름을 가졌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