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사칭 가짜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문자메시지 [사진: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05/401698_400937_3350.pn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가상자산 관련 해킹 등 정보통신망 침해형 범죄에 엄정 대응하고 피싱 사이트 탐지·차단 조치 등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
최근 가상자산 가치 상승 등 사회적 이슈를 틈타 가장자산 거래소 사칭 가짜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문자메시지 전송을 통해 아이디와 비밀번호 탈취를 시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가상자산 관련 피싱 사이트에 대한 사이버침해 모니터링 결과 지난해 41건에서 최근 3개월에만 32건이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대응센터를 통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가상자산 관련 피싱 사이트 등 사이버위협 발생시 유관기관과 협력해 차단·조치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지난 3월 1일부터 전국 시도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와 경찰서 사이버팀의 전문인력을 동원해 전체 정보통신망 침해형 범죄에 대해 특별단속을 전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계정에 침입해 가상자산 무단 탈취, 가상자산을 노린 악성프로그램 제작‧유포 등을 단속하고 있다.
가상자산과 관련된 정보통신망 침해형 범죄는 개인의 거래소 계정에 침입해 가상자산을 임의로 매도한 사건 등 현재 21건을 수사하고 있다.
메신저이용사기(메신저피싱), 문자결제사기(스미싱), 가짜 사이트(전자금융사기 사이트) 등으로 인해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가 유출되거나 휴대전화에 악성프로그램이 설치될 경우 가상자산 관련 계정해킹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기정통부는 이용자들에게 ▲카카오톡 등 SNS, 문자메시지를 받았을 때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주소(URL)는 클릭하지 않고 바로 삭제할 것 ▲의심되는 사이트 주소의 경우 정상 사이트와 일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할 것 ▲가상자산 거래소 비밀번호 등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것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휴대전화의 보안 설정을 강화 등을 당부했다.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될 때는 ‘118사이버도우미’에 신고하면 악성코드(앱) 제거 방법 등을 24시간 무료로 상담 받을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국내 모바일 앱 생태계 활성화 간담회 개최
- 과기정통부, 'K-글로벌 창업기획자 육성사업' ICT 벤처 모집
- 과기정통부, AI온라인 경진대회…선발팀에 총 60억원 지원
- 과기정통부, MEC 융합 서비스 참여 업체에 KT·LGU+ 선정
- 과기정통부, '2050 탄소중립 비전선포'…법, 10월 시행
- 과기정통부, 올해 공중케이블·전기줄 정비에 5000억원 투입
- 과기정통부, 'AI 학습용 데이터 사업' 2차 공모
- 주춤하던 홈페이지 해킹 다시 기승...코로나 영향
-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4기 SW 교육생 250명 선발
-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 전략' 마련...원천기술 개발 핵심
- 과기정통부, 롯데홈쇼핑 5년 재승인 결정
- 과기정통부,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보급 지원
- 日 가상자산 거래소 '리퀴드', 1000억원대 해킹 피해
- "휴대폰 지급 후 군인 사이버범죄 2배 이상 증가"
- 사이버 범죄 통로 전락 VPN..."수사 기법·기술 개발 시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