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정보원은 금융기관을 사칭한 악성 앱에 국내 이동통신사에 가입된 약 4만대의 스마트폰이 해킹 당했다고 7일 밝혔다.
국정원 사이버안보센터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을 사칭한 해커 조직은 스마트폰으로 가짜 인터넷뱅킹 앱을 내려 받도록 유도한 뒤 앱이 설치되면 통화기록과 문자메시지, 저장 문서 등을 가로챘다. 감염된 휴대폰 통화를 도청한 정황도 포착됐다.
이에 국정원은 관계 기관과 협조를 통해 피해 확산을 긴급하게 차단하는 등 후속 조치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국내 백신 업체와 공조해 해킹에 사용된 악성 코드에 대한 백신을 긴급히 업데이트하는 등 보완 조치를 했다.
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금융보안원 등 관계 기관과 협조해 추가 피해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국정권 관계자는 "해킹 시도가 지속되고 있어 추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련 사실을 공개한다"며 “코로나19 상황에 스마트폰과 개인용 컴퓨터 등을 노린 해킹 공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하태경 의원 “해킹 피해 예방 위한 국정원 정보공유 의무화”
- 국정원, 경제·금융 범죄 대응으로 영역 확대...금융권 범위 촉각
- 금융사기 대응으로 업무 보폭 넓히는 국정원...왜?
- 지난해 하반기 수사기관 제출 통신자료 285만5000여건…3.4%↓
- 코로나發 금융사기 확산 '비상'...두달 간 사기계좌만 6000건 적발
- "MS 익스체인지 서버 버그 악용 해킹에 미국서만 수십만 고객 영향권"
- 미 정부 기소 북한 해커들의 충격 행보...수년간 가상자산 시장 활개
- "디지털 전환 최대 위협은 보안, 취약점 금기 깨야"...OECD의 경고
- 정부·공공기관 보안 불감증 위험수위...해킹메일 열람하고도 신고 無
- 주춤하던 홈페이지 해킹 다시 기승...코로나 영향
- 드러난 국정원 경제질서 교란 범위...금융당국과 업무 중복 불가피
- 국정원, 사이버 위기경보 ‘정상’에서 ‘관심’으로 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