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 )이 국내에서 사용자가 많은 유명 메신저 홈페이지를 위장한 피싱 사이트에서 원격제어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회사측은 특정 회사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를 보면 카카오톡 홈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다.
인랩에 따르면 공격자는 서비스 제공 기업이 가짜 사이트 제작 여부를 알기 어려운 환경을 악용해, 사용자가 많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를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만들었다. 해당 피싱 사이트에 접속하는 악성 URL을 피싱 이메일 등으로 유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피싱 사이트는 정상 사이트와 화면 구성이 매우 유사해 사용자가 URL 등을 꼼꼼히 확인하지 않을 경우 가짜임을 알아채기 어렵다.
사용자가 피싱 사이트의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메신저 설치 파일로 위장한 악성 파일(.exe)이 다운로드 된다. 사용자가 해당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된다. 악성코드는 PC감염 후 추가로 원격제어 악성코드를 내려받아,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키보드 및 마우스 입력값, 클립보드 변경 내용 등 다양한 PC정보 탈취를 시도한다
공격자는 메신저 홈페이지 사칭 피싱사이트 뿐만 아니라 상용 그룹웨어의 다운로드 페이지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에서도 해당 악성코드를 유포하기도 했다.
박태환 안랩 ASEC대응팀장은 “공격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타겟으로 서비스 제공 기업 몰래 가짜 사이트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며, “가짜 사이트는 대부분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출처가 불분명한 URL 접속을 자제하고 SW 설치는 공식 홈페이지를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안랩,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안랩 TIP’ 출시
- "악성코드 기술도 진화한다"...올해 주목할 5가지 보안 위협 트렌드
- [아듀2020/보안] 코로나19 속 기업 환경 급변...맞춤형 패러다임 부상
- KISA, 내년 주목할 8가지 보안 위협 공개...진화하는 랜섬웨어 경고
- 안랩 V3, ‘AV-테스트’ 기업 사용자 부문 종합점수 만점으로 인증 획득
- 안랩 SOAR 플랫폼 세피니티에어 1.0, GS인증 1등급 획득
- 보안 솔루션 시장 클라우드 대세론 확산...신규 서비스 쏟아진다
- 영림원소프트랩, 디모아와 클라우드 ERP 총판 계약
- [주간공시다이제스트] 네이버,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지분 187만주 취득 외
- 상용SW 불법 다운로드 사용자 노린 정보탈취 악성코드 주의
- 경찰청 교통범칙금 통지 위장한 스미싱 주의보
- '명탐정 코난 보려다 악성코드 감염'...집콕족 노리는 해킹 기승
- 안랩, 클라우드 보안 확키운다...스타트업들에 또 투자
- 안랩, 차세대 방화벽 트러스가드 고성능 모델 3종 출시
- 애플 실리콘 최초 악성코드 발견 "더는 안전지대 아냐"
- 안랩, 클라우드 MSP 시장 진출...보안 전진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