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데이터 거래소 개방 기념식이 열렸다. (사진=신민경 기자)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금융회사들이 데이터를 사고 팔 수 있는 데이터거래소가 문을 열었다. 금융분야 데이터거래소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해 비식별정보를 거래하도록 중개하는 시스템이다. 거래소 출범은 지난해 6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분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방안'에 포함됐던 대표 정책 가운데 하나다. 운영기관인 금융보안원이 전반적인 업무를 주재한다.

11일 금융보안원은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데이터거래소 개방 기념식을 열고 시범 운용에 돌입했다. 이날부로 금융보안원과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등의 금융 유관기관과 신한은행, 신한카드, 코리아크레딧뷰로(KCB), SK텔레콤 등의 민간 회사 등이 데이터 개방에 협력하게 된다.

이들 민간 회사가 지역별 카드소비 데이터, 소득·지출·금융자산 정보, 행정동 단위별 성별·연령별 소득정보 등을 거래소에 등록해 놓으면 다른 기업과 연구소 등이 필요한 데이터를 골라 구매하는 식이다.

원활한 거래를 위해 이날 금융 유관기관 5곳(금융보안원·금융결제원·한국신용정보원·코스콤·보험개발원) 간의 데이터 유통·활용 혁신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이들 기관은 데이터 거래 표준 절차와 가격 산정 기준 등을 담은 '유통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정책적인 지원에 나선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선 금융과  통신 부문의 융합 데이터 발굴을 위해 금융보안원과 SK텔레콤이 상호협력을 다짐했다. 

거래소는 기존 데이터 거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지난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의 데이터산업 현황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데이터 거래 시 주요 애로사항으로 '양질의 데이터 부족(44%)'과 '데이터 소재파악 및 검색의 어려움(30.8%)'등을 꼽았다. 이에 거래소는 별도 연락수단 없이 데이터 검색과 계약, 결제, 분석 등 유통 전 과정을 거래소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수요자가 원하는 데이터나 제공형태가 있는 경우 공급자에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거래소는 분석 플랫폼 형태의 새로운 데이터 제공 방식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보 유출 우려 때문에 데이터 유통에 소극적이었던 금융사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서다. 제공 받은 데이터를 거래소 안에서만 분석·활용한 뒤 결과만 내놓는 등 엄격한 보안관제를 적용하겠다는 게 금융보안원의 설명이다.

아울러 데이터 바우처도 제공될 전망이다. 데이터 가격 산정에 대한 공감대 형성돼 있지 않은 기존 데이터 시장을 개선하기 위한 취지다. 올해 이와 관련해 책정된 예산은 575억원이다. 과기부와의 협의로 금융분야 바우처 지원 전문기관으로 지정된 금융보안원이 바우처 지원 접수와 사전 심사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금융위는 데이터 거래소 운영이 본격화함에 따라 시중은행과 핀테크회사들의 혁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이번 데이터 거래소 개방은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금융 혁신전략의 일환"이라면서 "금융사와 핀테크기업들이 데이터 유통과 결합 등의 디지털혁신 모범사례를 만들면서 안전한 데이터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