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정부와 이동통신사, 단말 제조사가 모여 5G 서비스 점검 회의를 열었다. 현재 11만여대 수준인 5G 기지국 장치수(AAU, Active Antena Unit) 를 연내 23만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전국망 구축이 완료되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2일 이동통신3사와 단말·장비 제조사가 참여하는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TF(태스크포스) 회의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5G 기지국은 서울 및 수도권, 지방 인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5만512대(5G 기지국 장치수 11만751대)가 구축돼 있다. 이동통신3사는 연내 5G 기지국 장치수(AAU)를 23만대까지 구축해 85개시(전체 인구의 93%)의 동 단위 주요지역까지 5G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통3사는 수도권 1~9호선 지하철 안에 5G 서비스 설비를 공동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공항과 대형 쇼핑몰 등 전국 120여개 빌딩 내에서 5G 인빌딩 장비를 이용한 5G망 구축 방안을 협의, 이르면 6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추진한다.

정부는 약관에 커버리지 정보제공 의무를 명시하도록 했다. 이동통신3사는 커버리지 맵을 홈페이지에 제공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정확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현재 SK텔레콤과 KT는 커버리지 맵을 공개하고 있고 LG유플러스는 오는 27일 공개할 예정이다. 또 인근 5G 기지국이 있는 상태에서 LTE 신호를 이용 중이더라도 휴대폰에 5G로 표시되는 현상도 조속히 개선하기로 했다.

정부 "LTE 속도 고의 저하 현실적으로 가능성 낮다"

5G 속도를 제대로 보장하기 위해 이통3사는 민원 제기 시 직접 현장을 방문해 속도를 재측정하고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5G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지국 확충과 네트워크 최적화(빔포밍·듀얼 커넥티비티)와 안전화, 기지국 성능 향상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빔포밍이란 5G 전파를 선택적으로 전달해 속도 및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기술이고, 듀얼 커넥티비티는 5G와 LTE를 묶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LTE 속도 고의 저하는 이론적·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낮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통사는 최적화 과정 중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SW(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으로 즉각 대처하고 있다.

이통사와 제조사는 5G 음영지역에서 4G 전환 시 일부 서비스 끊김, 통화권 이탈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끊김 현상은 보완패치 보급과 SW 업데이트 후 급속히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향후 이통사와 제조사가 협력해 잔여 문제 해소에 주력하기로 했다.

또 앞으로 출시 예정인 5G 전용폰(갤럭시폴드, V50씽큐)와 관련해 제조사와 이통사는 품질 안정화에 만전을 기한 뒤 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민 눈높이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5G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정부와 이통사, 제조사 협력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5G 서비스 점검 회의는 오는 30일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