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연구원이 올해 금융권 망분리 개편에 따라 변화하는 사이버보안 현황과 해외 사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또 고령화 시대 대응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도 추진한다.
12일 금융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금융연구원은 최근 2025년 위탁연구용역을 추진한다며 12개 과제를 공개했다.
금융연구원은 금융권 연구 활성화와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 등을 위해 매년 위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과제들 중에는 금융보안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금융연구원은 공지에서 “2024년 8월 물리적 망분리 규제의 완화 로드맵이 제시되면서 지난 11년 간 물리적 망분리 환경 하에서 사이버보안을 실시했던 국내 금융회사들이 논리적 망분리 환경에서의 사이버보안 시스템 구축이 중요해졌다”며 “이에 국내외 대표 금융회사들의 사이버보안 시스템을 비교해 분석하고 국내 금융회사 및 감독당국이 사이버보안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신경 써야 할 부분을 도출하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금융회사의 사이버보안 국제비교 및 시사점에 대한 연구를 금융연구원 연구진과 외부 연구진의 공동 연구로 진행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8월 금융위원회는 김포 KB국민은행 통합 IT센터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 주재로 민간 보안 전문가들과 금융협회,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등 유관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금융 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을 발표했다. 금융당국은 기존 금융보안 체계에 대한 대수술을 위해 ‘디지털 금융보안법(가칭)’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이후 금융위는 법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10월부터 12월까지 금융보안원을 통해 ‘디지털 금융보안에 관한 입법 방안 연구’를 진행했다. 올해 디지털 금융보안법 제정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연구원은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국내 금융 환경과 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연구원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연구도 진행한다. 금융연구원은 ‘고령화에 대비한 은행 부수업무 확대 방안’을 연구한다. 금융연구원은 고령화 시대에 금융권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경영과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고령화와 연계해 은행 등이 제공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알아보고 이를 위한 법적 및 제도개선 방안을 연구한다는 방침이다.
또 고령층 소비 활성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산업 발굴 및 육성방안도 연구한다. 이는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고부가가치의 액티브 시니어 친화적 여가산업을 발굴하고 민간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금융지원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금융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분석하는 ‘트럼피즘(Trumpism)의 경제학적 해석 및 정책 영향 분석’ 연구도 올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주식시장 밸류업과 관련해 한국 주식시장의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사례 조사 및 정책 방안도 연구한다.
금융연구원은 이달 중 12개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공모를 받아 3월 초 연구자를 선정한 후 약 6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할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국정원, ‘국가 망 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Draft)’ 배포
- 금융위 “금융권 AI 플랫폼 내년 상반기 구축”
- '다층보안체계 알리기' 나선 국정원...가능해지는 서비스는?
- 금감원-금보원 “올해 전체 은행, 생성형 AI 활용 금융사 대상 사이버 모의훈련 진행”
- [핀테크핫이슈] 올 '코리아 핀테크 위크' 3개월 늦게 열린다...왜?
- 트럼프 굿즈 판매 사이트, 트럼프 밈코인 에어드롭 페이지 오픈
- 국내 기업 97% "올해 경제위기 온다"…23%는 "IMF 때보다 심각"
- 금융보안원 “국가배후 해킹조직 금융회사 공격 주의 요구”
- 김병환 금융위원장 “인터넷전문은행 일정 접수 마감 후 27일 밝히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