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양대규 기자] 구글은 자사의 인공지능(AI) 연구가 사회적으로 유익한 것이 되기를 원한다. 이에 구글은 지난해 여름 자신들이 제시한 윤리원칙을 위반하는 AI 사용을 감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외부자문위원회를 발표했다고 26일(현지시간) 더버지(TheVerge)는 보도했다.

구글의 수석 부사장인 켄트 워커가 발표한 외부자문위원회에는 수학, 컴퓨터 과학, 공학, 철학, 공공 정책, 심리학, 심지어 외교 정책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과목들에 대한 전문가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단체는 첨단 기술 외부 자문 위원회(Advanced Technology External Advisory Council)로 불릴 예정이다. 

구글은 이 단체가 현실에서 어떻게 AI를 배치하는지를 감시하는 일종의 독립된 감시기관으로, 얼굴 인식과 기계 학습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워커는 "이 그룹은 우리의 AI 원리에 따라 발생하는 구글의 가장 복잡한 문제들 중 일부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버지에 따르면, 케이 콜레스 제임스를 포함한 헤리티지 재단의 선택은 적어도 일부는 공화당에 호소하며, AI 관련 법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한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작년 미국 국방부 무인기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메이븐(Project Maven)에 참여해 논란에 휩싸였다. 인명을 앗아갈 수 있는 AI 사업에 직원들을 투입한 것이다. 구글은 이에 대한 내부 반발과 외부 비난에, 계약 만료 후 메이븐에 대한 개입을 끝내기로 결정했다. 

(사진=PhotoMIX)
(사진=PhotoMIX)

이후 선다 피차이(Sundar Pichai) 구글 CEO는 구글의 AI 원칙이라고 칭한 새로운 지침들을 종합했다. 이는 이 회사가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규범’과 ‘전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국제법과 인권 원칙’을 위반할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에 대해 일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것이다.

피차이는 당시 "우리는 이러한 강력한 기술이 그것의 사용에 대해 똑같이 강력한 의문을 제기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AI가 어떻게 개발되고 사용되는지는 앞으로 수년 동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AI의 리더로서 이 문제를 제대로 해결해야 할 깊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구글의 AI 연구가 ‘사회적으로 이득이 되는 것’이기를 사실상 원하고 있으며, 이는 종종 정부 계약을 체결하거나 인권 침해가 두드러진 지역이나 시장과는 일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