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 최대 화두로 토큰증권(STO)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금융위원회가 지난 2월 5일 STO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블록체인 기술 업체부터 조각투자 업체, 증권사까지 STO 시장 선점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디지털투데이가 STO 시장 개척에 나선 다양한 플레이어들의  목소리를 들어 본다.  [편집자주]

박효진 세종텔레콤 부사장 [사진:세종텔레콤]
박효진 세종텔레콤 부사장 [사진:세종텔레콤]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세종텔레콤은 지난 2019년 일찍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토큰증권 발행(STO)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다른 업체들보다 한발 앞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인 '비브릭'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비브릭 사업을 총괄하는 박효진 부사장은 위변조가 불가능한 기술인 블록체인을 더해 모럴 해저드에서 투자자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ST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동산을 택했다고 밝혔다. 비브릭만의 STO 사업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STO  가이드라인에 대한 의견은?  
"투자계약만 판단 기준이 없으니 세밀하게 만든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자본시장법, 전자증권법의 기준에 맞춰 STO를 허용하려다보니 블록체인 정신과는 맞지 않게 된 것 같다. 자본시장법에서는 이해관계자들끼리 금융상품을 마음대로 취급할까봐 발행과 유통을 분리한다. 블록체인은 중개인이 없어도 하나의 메인넷에서 발행과 유통이 가능하다. 향후 법 개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사업할만한지 판단이 될 것 같다.  발행, 유통 분리 대원칙을 끝까지 고수하는 건 블록체인의 원칙과 맞지 않아 아쉽다."

-비브릭이 추구하는 STO 사업 전략은?
"수익증권 중 하나인 부동산으로 시작했다. 투자계약증권, 비금전 신탁 형태의 수익증권은 시장 활성화가 안됐던 부분이라 이 시장을 열어주겠다는 목표다. 이와 별도로  부산 블록체인특구에서 규제자유특례가 내년 말까지 연장됐기 때문에 정식 라이센스를 취득해 시장에 진입할 계획이다. 세종텔레콤은 STO 플랫폼을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어 본 업체다. 미러링(이중장부) 방식도 처음으로 적용했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 회사로 시장에 접근하고자 한다.  증권사, 금융기관을 위한 STO 플랫폼 구축할 때 기술 파트너사로 참여할 생각이다. 발행인 관리계좌기관 노드 구축 운영도 해줄 수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뿐만이 아니라 비즈니스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증권사 등과 차별화된 접근 방법이 있다면? 
"세종텔레콤은 하이퍼레저 기반 메인넷을 제공한다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다. 실사용 플랫폼 만들어서 시장 검증된 걸 비교하면 이더리움 기반 메인넷에 비해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세종텔레콤은 이더리움 기술과 하이퍼레저 기술을 모두 갖고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2019년에 처음으로 만들었다. 멀티체인, 사이드체인을 붙이는 형식으로 제작했다. 이더리움 기반 프라이빗 체인은 스마트 계약을 만들기 위해 지갑이 있어야 하는데 제약이 많다. 특히 속도가 느리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지갑이 필요 없고 이더리움보다 속도가 빠르며 전통 금융기관과 연동이 편리하다. 이더리움은 재단이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만들다보니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기약이 없다. 반면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있어 기능이 편리하다. 토큰 발행 기능이 없어 규제 준수 측면에서도 자유롭다. 세종텔레콤은 이더리움 표준 규격을 따와서 하이퍼레저에 접목하고 있다. 필요 없는 기능 빼는 걸 작년부터 시작해 거의 마무리하는 과정이다." 

-STO가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나?
"STO는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STO를 한다고 해서 부동산 수익률이 더 높은 상품이 많이 나올 것 같진 않다. 다만 그 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부동산 금융상품이 나올 것이다. 투자계약증권 부문에 관심을 갖고 있다. 농사를 짓고 있지 않는 땅을 농민들에게 빌려주어서 농산물 수확 이익을 배분하는 투자계악증권, 게임, 광물, 석탄 등 여러분야에서 다양한 상품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STO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점이 있다면. 
"발행, 유통 분리가 완화돼야 한다. 소액공모 위주로 해서 투자한도를 10억원 이내 30억원까지 늘려줬으면 좋겠다. 투자 한도를 좁히니까 부동산 하나만 해도 170억원 규모의 상품을 공모하는데 한도가 100억원 밖에 안 된다. 한도가 너무 좁으면 시장 활성화가 어렵다. 코넥스가 활성화 안 되는 이유가 규모가 작기 때문이다. 첫 단계에서 성과를 보이면 시장을 열어줘 한도가 확대되면 파급 효과가 커질 것이다."  

-향후 국내 STO 제도화 방향성에 대해 조언한다면.
"독일이 제일 먼저 분산원장기술 기반 상품 법을 만들었는데 그게 표준 모델이 될 것이다. 예탁결제원의 지금 가이드라인대로 진행하면 블록체인을 도입한 의미가 없다. 전자등록기관 없이도 분산원장을 도입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검증이 불가능한 시장은 분산원장에 참여한 사업자들끼리 신뢰성, 투명성 검증 허용해 책임 소재가 불명확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규제와 산업 육성의 접점을 찾는 게 필요하다. 예탁결제원에 기본적 권한은 주되 기술의 특성은 좀 많이 활용할 수 있게끔 했으면 좋겠다. 투자자 보호 등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면 발행, 유통을 병행하게 만들었으면 좋겠다. 그런 형태로 가면 수익성도 생기고 투자자 역시 발행인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상품을 이용할 수 있을테니 번거로움이 없을 것이다." 

-STO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전망하나? 
"조각투자사업자들이 첫 시도를 하겠지만 증권사들이 워낙 증권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시장 생리를 잘 아니까 증권사들이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이 만들어져야 한다. STO만 가지고는 시장의 한계는 분명히 있다. 디지털자산기본법이 만들어져서 가상자산과 STO가 연결되는 생태계 구조가 만들어져야 블록체인 기술이 빛을 발할 것이다. 시간이 많이 걸리겠지만 STO와 가상자산이 합쳐서 디지털 자산이 어우러질 수 있는 날이 온다면 시장은 커지고 다양한 비즈니스가 형성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