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 최대 화두로 토큰증권(STO)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금융위원회가 지난 2월 5일 STO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블록체인 기술 업체부터 조각투자 업체, 증권사까지 STO 시장 선점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디지털투데이가 STO 시장 개척에 나선 다양한 플레이어들의  목소리를 들어 본다.  [편집자주]

정승화 서울옥션블루 부사장 [사진:서울옥션블루]
정승화 서울옥션블루 부사장 [사진:서울옥션블루]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모바일 미술품 조각투자 공동구매 플랫폼 '소투' 운영사 서울옥션블루가 해외 진출에 나선다. 미술품 기반 투자계약증권, 토큰증권(STO), 담보 대출 및 대체불가토큰(NFT) 등 미술 금융투자상품을 케이팝처럼 해외 시장에 선보인다는 목표다. 정승화 서울옥션블루 부사장을 만나 사업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STO 관련 가이드라인은 어떻게 보나? 
"소극적 규제에서 적극적 규제로 변화했다고 본다. STO를 통해 투자자 보호 및 문화미술 산업 발전, 글로벌화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서울옥션블루는 향후 투자계약증권을 기초로 펀드,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그러려면 미술 시장 규모가 커져야 한다. 유동성이 유입되려면 시장 가격이 형성돼야 한다. 객관적인 시장 가격이 있어야 펀드와 ETF 만들 수 있는데 STO 가이드라인은 (가격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서울옥션블루가 추구하는 STO 사업은? 
"발행인 계좌관리기관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플랫폼 업체가 계좌관리기관의 역할을 하도록 승인했다. 이를 통해 STO 발행 등을 관리할 예정이다. 정부가 요구하는 자격 조건에 맞춰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도 취득했다." 

-미술 조각투자 시장에 STO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나? 
"전체적으로 문화 예술인 처우를 개선하면서 산업 발전 및 투자자 보호, 글로벌화를 가능하게 만들 것으로 본다. 코로나19가 유행하던 시절에는 전시회가 불가능해 업계가 더 어려웠다. 아직 제도권에 포함되지 않은 미술품 조각투자가 STO를 통해 제도권에 편입돼 거래가 이뤄지게 됐다. 공정한 객관적 시장 가격 형성을 통해 미술품뿐만 아니라 금, 채권 등 섞인 간접투자상품 만들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상품을 잘 갖춰놓으면 케이팝처럼 글로벌 진출도 가능하다. 미술품을 기초로 한 콜라보 상품도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다." 

-STO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점은 뭐라고 보나? 
"투자 한도 부분이 개선이 필요하다. STO 제도 자체는 혁신적인만큼 자산 운용도 도입 취지에 맞게 혁신을 장려해야 한다고 본다. MZ세대 등이 미술품을 비롯한 조각투자를 통해 빈부격차 해소를 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가이드라인상 일반 투자자의 연간 투자금액 한도는 1000만~2000만원 사인데 이는 도입 취지와는 괴리가 있지 않나 싶다. 투자한도를 상향시켜야 투자 수익 향유가 가능하다. 플랫폼 운영사 입장에서 현재 투자 한도는 사업 고사 직전인 상황까지 몰릴 수 있다. STO가 시장성과 산업성을 갖기 위해서는 점진적으로 투자 한도를 확대해야 한다. STO 업체들이 투자자 보호를 위해 기본 투자 설명 의무 등을 이행한다는 점을 고려해 투자 한도를 제도 도입 취지에 맞게끔 대폭 상향해야 한다."

-향후 국내 STO 제도화 방향은 어떻게 돼야 한다고 보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STO 사업을 하는 건 한계가 있다. 증권으로 취급한다면 발행총량관리를 하며 초과발행을 못하게 한다는 뜻이다. 퍼블릭 블록체인으로도 초과발행을 못하게 할 수도 있겠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기술적 안정성이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다. 토큰증권을 자칫하면 초과 발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 오히려 시장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제도적 안정성 기반에서 혁신성을 추구하는 게 좋다. 그 때문에 STO의 기반 기술은 컨소시엄 블록체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참가자들이 발행인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 5개 이상 노드 참여하는 블록체인으로 폐쇄적인 프라이빗 블록체인과는 다르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활용 가능성이 높다." 

-STO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전망하는가. 
"STO는 전자증권의 일환인데 NFT, 메타버스 등과 연합해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기반이 다져졌기 때문에 사업 종사자들이 다양하고 혁신적인 상품 개발을 위해 노력하면 파생상품도 충분히 만들 수 있다. 주식 파생 상품이 많은 것처럼 사업자들이 다양한 파생상품을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자극하게 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