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네트워크 담당 직원이 SRT 수서역에서 5G 인빌딩 서비스 구축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 KT]
KT 네트워크 담당 직원이 SRT 수서역에서 5G 인빌딩 서비스 구축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 KT]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통신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에 5G 핫스팟용인 28㎓ 대역 활성화를 위해 지하철 기지국 공동(로밍) 구축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통사들의 경우 3.5㎓ 대역에서 농어촌 지역만 한정해 5G 기지국 공동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이통사들은 28㎓ 대역과 5G 전국망인 3.5㎓ 대역은 전파 특징이 다르다며 난색을 보이는 상황이다.

이통 3사는 올해까지 5G 28㎓ 대역에서 총 4만5215국을 구축‧개설해야 한다. 이를 감안해 정부는 5G 28㎓ 대역 활성화를 위해 지하철 공동 구축 등 제안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신임 장관이 인사청문회에서 5G 28㎓ 대역 기지국 공동구축을 이행사항으로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한 대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이통사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18일 과기정통부 및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통 3사에 28㎓ 대역 지하철 기지국  공동 구축을 제안했다. 정부는 이미 28㎓ 대역 활성화를 위해 ‘28㎓ 5G 이동통신 구축 활성화 전담반(TF)’ 발족회의를 진행 중이다. 전담반에는 농어촌 5G 통신망 로밍 TF 및  운영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존 TF에 참여했던 과기정통부, 이통3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와 함께 참여 인원을 늘린 상황이다. 

통신장비업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5G 28㎓ 대역 활성화를 위해 지하철 공동 구축을 이통사에게 제안한 것은 맞다. 일종의 아이디어 차원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 (LTE와 연계되는) NSA(논스탠드얼론, 비단독모드)이고 28㎓ 단말이 없기 때문에 3.5㎓ 대역, LTE와 연계해 28㎓ 대역을 사용해야 하는데, 공동 사용(로밍)이 쉽지 않은 것은 맞다”고 말했다. 

이어 “현실적인 방안으로는 28㎓ 대역을 구축하고 백홀은 28㎓ 대역 전파로 유지하되 라우터(동글)를 사용해 와이파이 신호로 바꾸고, 이용자는 와이파이를 쓰는 방안이 유력하다”며 “정부가 28㎓ 대역 활성화를 위해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고 설명했다. 이 방식은 지하철에서 최대 550여 명이 동시에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상용화 기술인 MHN 기반의 초고속 와이파이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존 와이파이 방식으로 사용돼 왔던 와이브로(WiBro2) 기반보다 약 100배 빠르고 LTE 기반보다 30배 빠르다.

이통3사는 3.5㎓ 대역에서 농어촌 지역만 한정해 5G 기지국 공동 구축을 통한 공동 사용(로밍)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 별도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A통신사가 망을 구축한 지역에서 B 통신사 구축 지역으로 넘어갈 때 끊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핸드오버(Handover,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자유롭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지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끊김없이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는 이동통신을 위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핵심 기술이다.

3.5㎓에서도 경계지역에서 끊김 없이 서비스하는 것이 어려워 별도 기술이 필요한데, 전파 회절력이 좋지 않아 전파 도달거리가 짧은 28㎓ 대역은 현실적으로 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28㎓ 대역 단말이 없는데다가, 3.5㎓ 대역·LTE와 연계해 사용해야 하는 문제도 걸림돌이다. 각 이통사는 각자 3.5㎓ 대역·LTE 장비를 구축했기 때문에 28㎓ 대역을 지하철에서 공동구축해 로밍할 경우 호환성 문제가 남아있다. 

결국 정부는 28㎓ 대역 활성화를 위해 28㎓ 대역을 활용한 MHN 기반의 초고속 와이파이 기술을 고려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즉 지하철 플랫폼과 터널 등에 5G 28㎓ 대역 기지국을 설치하고, 열차 안에 라우터를 설치해 이용자들이 와이파이로 5G 28㎓ 대역을 이용하는 셈이다. 하지만 와이파이를 위해 28㎓ 대역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이통사들의 설명이다. 

이통 3사가 28㎓ 5G 주파수를 할당받으면서 약속한 기지국 구축 목표는 2019년 5269국, 2020년 1만4042국, 2021년 2만5904국 등 3년간 총 4만5215국을 구축‧개설해야 한다. 하지만 올 3월 말까지 구축을 완료한 기지국수는 91개다.

과기정통부는 이통 3사에 28㎓대역 주파수 할당조건 이행을 촉구하는 정식 공문을 3차례 발송하고, 불과 2개월 전인 지난 2월 24일에도 공문을 통해 “기지국 의무 구축 점검결과 미이행 시 주파수 할당 취소를 단행하겠다”며 강력한 제재 의지를 계속 보여왔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인사 청문회를 통해 “5G 28㎓ 대역 기지국 공동구축을 이행사항으로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한 대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언급한바 있다. 이는 이통 3사가 올해 연말까지 5G 28㎓ 기지국을 각각 1만5000국씩 총 4만5000국을 구축‧개설해야 하는 의무 조건을 3분의 1 수준으로 줄여주겠다는 정책 변화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이 지하철에서 5G 28㎓ 대역 기지국 공동구축에 나설지 주목된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장관이 28㎓ 대역 5G 기지국 공동구축을 이행사항으로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한 대안 중의 하나라고 했고, 또한 지하철에서 28㎓대역 공동 구축을 제안한 것은 정부가 어떻게든 28㎓ 대역을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며 “하지만 28㎓ 대역 단말이 없는 상황에서 와이파이 용으로 이통사들이 28㎓ 대역 구축에 나서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