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정부가 2017년 9월 선택약정할인율을 20%에서 25%로 상향한지 3년 3개월만에 가입자 2700만명을 돌파했다. 2017년 8월 당시 정부는 그해 다음 달부터 선택약정할인을 25%로 상향한다고 발표하며 2018년 경 가입자가 1900만명(34%)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선택약정할인(요금할인25%) 가입자가 2017년 이후 5년 이내 전체 가입자 50%에 해당하는 2700만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와 이통사 모두 예측이 어느 정도 맞았지만 시기는 더 앞당겨졌다. 이같은 흐름이면 2021년~2022년 정도에 선택약정할인 가입자가 3000만명을 돌파할 가능성도 있다. (관련기사/선택약정할인 가입자 2700만 돌파..."공시지원금보다 유리" 인식 확산)

선택약정할인이 25%가 적용되는 만큼, 공시지원금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가입자들이 선택약정을 택하는 비중이 예전보다 높은 편이다. 갤럭시노트20·아이폰12 등 프리미엄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고가 요금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들 중 90% 이상은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한다.

상대적으로 저가 요금제 사용자들은 고가 요금제 대상자보다 지원금을 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체 요금제 대상으로 살펴볼 경우 이용자 최소 50% 이상이 선택약정을 이용하고 있다. 3년 전만 하더라도 새롭게 휴대폰을 구매하는 전체 이용자 가운데 평균 35%가 선택약정할인에 가입했다. 하지만 요금할인율이 25%로 늘어나면서 저가 단말기에서도 가입이 늘어나 평균 가입률이 50%를 넘었다. 선택약정할인은 이미 대세가 됐다고 볼 수 있다. 

선택약정할인의 가장 긍정적인 면은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효과다. 현재 이통사 대리점이나 판매점에서 스마트폰을 구매할 경우 반드시 통신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 즉, ‘단말기 구입 +통신 서비스 가입’이 사실상 패키지로 구성돼 국내 이용자들은 이같은 결합 판매에 익숙해졌다. 이를 분리하자는 것이 단말기 완전 자급제이고, 선택약정할인 가입 비율이 높아질수록 자급제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짙다.

단말기를 자급제로 구매할 경우 공시지원금 혜택을 누리지는 못하지만 이에 상응하는, 또는 더 혜택이 큰 선택약정할인을 받기 때문이다. 공시지원금을 받았을 경우도 24개월이 지나면 선택약정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단말기 교체 주기 증가를 가져와 단말기 출고가 인하에도 도움이 된다. 

다만 선택약정할인 가입자 증가는 이통사의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매월 요금에서 25%가 깎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통사의 실적은 양호한 편이다. 다시 말해, 매출은 줄었지만 마케팅비나 네트워크설비투자(CAPEX) 비용 통제로 수익을 내고 있다고 보면 된다.

3년 전 이통사는 5년 이내 선택약정할인 가입자가 전체 이용자 5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면서 최대 2700만명을 예상했다. 요금 수익 감소액은 1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예상보다 선택약정할인 가입자는 빠르게 증가했지만 이통사는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2021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연결영업이익 합산 규모는 3조7600억원 수준으로 3년 전인 2018년 3조2000억원보다 약 17.5%가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선택약정할인에 가입하지 않은 이용자수는 1200만명에 이른다. 무약정 1년이 넘은 이용자수만 535만명이다. 무약정 기간이 1년이 넘었다는 건 이용자가 선택약정제도 자체를 알지 못해서 가입을 못한다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정부와 이통사들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이유다. 국민 모두가 선택약정할인제를 알고 공시지원금과 비교해서 자신에게 유리한 것을 꼼꼼히 비교해 선택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