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네트워크 [사진: 셔터스톡]
6G 네트워크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최지연 기자] 정부가 차세대 네트워크 6G의 주도권 선점에 나섰다. 정부는 5G에 이어 6G도 세계 최초 상용화를 이뤄내며 글로벌 시장 패권을 잡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5G도 충분히 안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6G를 준비한다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가 5G 이후의 차세대 네트워크 6G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6G는 이론상 4G(LTE)보다 100배, 5G(20Gbps) 보다 50배 빠른 속도를 구현한다. 해당 이론을 적용하면 125GB 대용량 데이터를 1초만에 옮길 수 있다. 또 네트워크 지연 속도는 0.1㎳(1000분의 1초)로, 5G 대비 10분의 1 수준이다. 

6G는 2025년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오는 2029년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6G가 상용화될 경우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해 전 산업에서 획기적인 변화가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도심항공교통(UAM)이나 자율주행차, 원격로봇수술, 만물인터넷(IoE), 맞춤형 AI 비서, 홀로그램 통신 등 일상생활을 획기적으로 바꿀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KB경영연구소는 "6G 이동통신의 발전으로 빠르고 지연이 없는 초고용량 데이터 전송에 기반한 서비스 산업이 확산될 전망이며, 새로운 융합산업과 서비스의 출현이 기대된다"며 "사람과 기계의 통신이 가능해 지며 생각만으로 각종 기계장치를 조종하는 인간과 기계를 연결하는 기술(HCI)이 주목 받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6G의 상용화 시점을 2028년으로 목표하고 있다. '최초 상용화' 타이틀을 취하기 위해서다. 앞서 한국은 지난 2019년 5G를 세계 최초로 사용화했다는 타이틀을 얻은바 있다. 현재 미국, 일본, 중국 등 다수의 국가들도 6G 연구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 3사도 6G 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KT, SKT 등 주요 업체들은 6G 연구센터를 설립해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통신 3사는 6G 네트워크 기반이 될 오픈랜 생태계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6G 본격화에 대비해 고주파 대역과 관련 음영지역 커버리지를 개선하고자 한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목표가 너무 이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글로벌 국가들이 예상한 2030년보다 2년 앞당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내세웠다. 그러나 현재 5G는 상용화 된지 5년이 지났음에도 충분히 안착됐다고 보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5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용자들의 만족도도 높지 않다. 4G 대비 속도 체감이 크지 않은데다 이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도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이에 이용자들은 6G가 나올 경우 요금제 가격만 올리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업계는 글로벌 패권을 잡기 위해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에 힘을 쏟아야 한다며 정부의 많은 지원이 더욱 확대 되야한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2026년까지 6G 주파수 발굴을 추진한다는 목표를 내세웠지만, 올해 R&D 예산을 지난해 대비 4조6000억원이나 삭감했다. 정부는 6G 상용화·표준화 R&D를 총 4407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2028년까지를 목표로 내세웠지만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이를 지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국가들은 공격적으로 6G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이 패권을 잡으려면 정부가 명확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