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춘천 메인 조감도 [사진:네이버]
각 춘천 메인 조감도 [사진:네이버]

[디지털투데이 최지연 기자] 네이버가 10년간 무사고로 운영해온 데이터센터의 노하우를 공개했다. 네이버의 첫번째 자체 데이터센터 '각 춘천' 지난 10년간 무중단, 무사고, 무재해로 운영됐다. 네이버는 올 하반기 두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가동할 계획이다. 이같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로 뻗어나간다는 포부다.

국내 첫 데이터센터 '각 춘천' 2013년 첫 가동...10년간 무중단·무사고·무재해 

네이버는 지난 9일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네이버 데이터센터(이하 ‘각 춘천’)에서 지난 10년간 네이버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노하우를 공개하고 올 하반기 선보일 ‘각 세종’을 소개했다.

각 춘천은 지난 2013년 비수도권 최대 규모로 지어졌다. 축구장 7개 크기인 연면적 4만 6,850 m2(제곱미터), 약 10만 유닛(Unit, 서버의 높이 단위규격)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다. 비수도권 최대 규모다. 현재까지 각 춘천은 네이버가 국내외 사용자들에게 연속성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등 ESG경영측면에서도 글로벌 선도 사례로 꼽히고 있다.

네이버는 각 춘천의 설계, 구축, 운영 전 단계에 걸쳐 전담 인력양성과 기술개발(R&D)에 공을 들였다고 설명했다.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센터 운영체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기·기계·제어·통신분야 등 다양한 직군에서 데이터센터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기술역량을 내재화하고 있다.

특히 장애 감지 및 분석 툴을 개발해 장애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자체 개발한 서비스 장애 감지도구 WMS(웹 모니터링 시스템)는 기존 상용 도구에서 감지하지 못했던 장애 전조증상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종합 장애 분석 툴인 ‘위브(Weave)’ 역시 자체 개발 도구로 서비스 장애감지와 인프라 장애감지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 네트워크, 서버 정보들이 함께 연동되어 있어 서비스 장애 시 종합적인 상황 분석과 효과적인 복구 지원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지진, 정전, 화재,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재난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 지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비시설을 구축했다. 일례로 각 춘천의 모든 건물은 진도 6.5 이상을 견딜 수 있다. 이는 국내에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의 내진설계과 동일한 수준이다.

다이내믹 UPS실 [사진:네이버]
다이내믹 UPS실 [사진:네이버]

서비스 중단 없이 약 70시간 동안 가동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설계

각 춘천은 한국전력의 전기 공급 이상으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해 서버에 끊김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이나믹 전원공급장치(UPS)를 사용하고 있다. 다이나믹 UPS는 배터리 구성이 없는 발전기 일체형 UPS로 정전 발생 시 내부 정전 보상 장치 인덕션 커플링을 통해 회전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약 5~7초 간 전원을 공급하고, 일체형 비상용 발전기가 자동 기동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각 춘천 지하 60만 리터 규모의 경유탱크 유류를 UPS에 공급해, 약 70시간 이상 전력 중단 없이 데이터센터를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주변 산불 화재 발생 시에는 CCTV(열화상 폐쇄회로 TV)에 발열이 감지되면 화재 감지 소프트웨어가 실시간으로 보안관제센터 근무자에게 상황을 전달하고, 서버관 건물 옥상에 설치해둔 방수총에서 물을 분사해 화재확산을 막도록 설계됐다.

이외에 실제 데이터센터 내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진압 및 대피, 인명 구조훈련을 위해 춘천소방서와 연 1회 민관합동소방훈련도 진행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관련 인프라와의 접근성을 고려해 수도권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한 곳에 시설이 밀집해 있을 경우 재난 시 위기관리에 취약할 수 있다. 때문에 네이버클라우드는 수도권뿐 아니라 강원, 충북, 경남 등 다양한 지역에 자체 및 임대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의 제2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 또한 각 춘천과의 물리적 거리를 고려해 선정한 입지다.

네이버클라우드 정수환 IT서비스본부장(왼쪽), 노상민 데이터센터장 [사진:네이버]
네이버클라우드 정수환 IT서비스본부장(왼쪽), 노상민 데이터센터장 [사진:네이버]

치밀한 네트워크 아키텍처 설계와 서비스 특성에 따른 분산 배치 또한 중단 없는 서비스를 위한 필수 요소다. 네이버는 네트워크 안정성을 위해 하나의 통신사업자가 아닌 다수의 통신사업자를 이용하고 있고 데이터센터 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케일 아웃(Scale-Out) 구조 및 다중화로 구성해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센터 상면용량 협의기구’를 구성해 서비스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데이터센터 기술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센터 기획·기술 조직 및 서비스 인프라 매니저 조직, IT 인프라 엔지니어 조직과 같은 유관부서와 협의기구를 통해 상면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재난 상황에서도 빠른 복구를 가능하도록 네이버클라우드는 재해 발생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BCP 전담조직을 구성해 직무별 개인 행동 요령과 대응 프로세스 체계를 갖췄다. 이에 지난 10년간 약 200회 이상의 모의훈련을 진행했다. 지속적인 훈련으로 실제 재난 상황에서 빠른 의사결정, 네이버웍스의 AI업무 비서인 웍스봇(WORKS Bot)을 통한 임직원 간 커뮤니케이션, 가용 자원 파악 및 신속한 복구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웍스봇은 인프라 설비운영 전체직원을 대상으로 온·습도, 열 감지, 서비스 장애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장은 “주요 서비스의 경우 장애대처의 골든타임 이내에 복구해야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며, “서비스가 죽으면 안되고, 데이터를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 네이버클라우드의 사명감”이라고 말했다.

각 세종 조감도 [사진:네이버]
각 세종 조감도 [사진: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각 세종’ 하반기 가동…‘미래형 로봇 데이터센터’ 청사진 제시

네이버는 세종에 제2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건축하고 있다, 각 세종은 미래형 로봇 데이터센터로 탄생할 예정이다. 각 춘천의 6배 규모인 29만3697m2(제곱미터) 대지 위에 세워지는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로 수전 용량 또한 각 춘천의 6.7배인 270MW(메가와트)에 달한다. 각 세종은 약 60만 유닛 이상의 서버를 수용할 예정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등 팀 네이버의 기술 역량을 모았다.

네이버는 각 춘천을 10년간 운영하며 쌓아온 노하우와 경험을 기반으로, 각 세종을 IT 집적도가 높고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인 데이터센터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완공한 테크컨버전스 빌딩인 네이버 제2사옥 '1784'에 이어 각 세종에도 로봇과 자율주행 등의 첨단 기술을 대거 적용할 예정이다. 로봇, 자율주행셔틀 등을 활용해 데이터센터 현장 업무의 생산성을 보다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향후 20년간 IT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건축에서부터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설계로 친환경 재생 에너지를 적극 활용해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비할 예정이다.

정수환 네이버클라우드 IT서비스본부장은 “네이버클라우드는 로봇, 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를 바탕으로 서비스 안정성을 이어갈 것이라며 “각 세종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가 성장하고 전세계로 뻗어나가는 근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