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고정훈 기자] 금융지주 회장들이 채용비리 혐의와 파생결합상품(DLF) 사태 등 각종 논란에도 자리 지키기에 성공했다.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데다, 조직 안정과 지주사 전환 등을 성공적으로 이끈 공로를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다만 아직 사법당국의 최종 판결과 금융감독당국의 제재 수위가 남아 있어 최악의 경우 '경영공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는 지난달 30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를 열고 현 손태승 회장을 차기 후보로 단독 추천했다. 우리금융지주는 내년 3월 주주총회를 통해 손 회장의 연임을 통과시킬 계획이다. 임추위는 단독 후보 추천 이유로 지주 출범 초기라는 점을 감안한 점과 조직안정 등을 꼽았다.

장동우 임추위원장은 "검증된 경영능력과 안정적인 조직관리 역량, 도덕성 등을 두루 갖춘 손태승 회장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시현할 수 있는 최적의 후보로 판단돼 만장일치로 이사회에 추천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이 DLF 사태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제재 수위를 논의 중이다. (사진=연합뉴스)
금감원이 DLF 사태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제재 수위를 논의 중이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지난 13일 신한금융지주도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현 조용병 회장을 차기 회장 단독후보로 정했다. 회추위는 조 회장이 지난 3년간 역임하며 오렌지라이프, 아시아신탁 인수 등을 통해 성과를 이끈 점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조 회장 역시 내년 3월 정기주총을 통해 연임이 확정된다.

각 수장들의 연임과 더불어 올해 금융업계는 임원들의 인사폭도 적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내년부터 악화된 영업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금융업계의 이같은 선택은 내년 초 관련 기관의 제재수위나 처벌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현재 금융감독원(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는 DLF사태와 관련해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의 제재 수위를 논의 중이다. 실제로 지난 26일 손 회장과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에게 문책경고를 통보하기도 했다.

아직까지 제재수위가 밝혀진 바는 없으나, 사회적 파장이 컸던 만큼 중징계가 내려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감원은 내년 1월 16일 제재심의위원회를 거쳐 금감원장, 금융위원회 승인으로 제재를 내릴 방침이다. 만약 정직·해임 등 중징계가 확정되면 최소 3년 이상 금융권 취업과 연임 등이 어려워진다. 한마디로 우리금융지주의 경영 공백이 생길 수도 있다는 의미다.

신한금융지주도 경영공백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조 회장이 오는 22일 부정채용과 관련된 1심 선고를 앞두고 있어서다. 검찰은 지난 2013~2016년 조 회장이 신한은행장을 역임할 당시 채용과정에서 일부 지원자들에게 특혜를 제공하고 합격자 성비를 인위적으로 조정했다며 징역 3년과 벌금 500만원을 선고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이같은 불안감에 각 은행들은 징계수위를 낮추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우리은행은 DLF사태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피해 구제 노력 등을 근거로 징계수위를 낮추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신한금융 또한 노동조합이 재판부에 직원들 복지를 위해 힘썼다는 내용을 담은 탄원서를 접수하면서 수위 조절에 힘쓰고 있다.

한 업계관계자는 "아직 내년 징계수위나 처벌 등에 말해 답하기는 어렵다"며 "관련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방어하고 있어 지켜볼 필요가 있다. 결국에는 재판부나 금감원이 해당 사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신한은행 본점 전경.(사진=신한은행)
서울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신한은행 본점 전경.(사진=신한은행)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