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지난해 3분기 국내 민간소비 증가율이 경제 규모가 큰 주요 7개국(G7) 평균 소비 증가율의 6분의 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초 4%를 웃돌던 국내 민간소비 증가율이 고금리·고물가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3분기 0%대로 급락한 결과다.

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3분기 한국의 민간소비(불변가격)는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4분기 6.4% 줄어든 뒤로 2년 3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국내 민간 소비 증가율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본격화한 2021년 4분기 6.1%로 정점을 찍은 뒤 작년 1분기(4.6%)까지 높은 증가율을 유지했지만 2분기 1.5%, 3분기에는 0%대로 내려앉았다.

긴축 기조에 따른 소비 둔화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모습이지만 한국의 더딘 회복세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더 뚜렷하다.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이탈리아·캐나다 등 G7 국가의 작년 3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1.2%로 한국의 6배였다.

한국의 민간소비 증가율은 코로나19 엔데믹이 본격화한 2022년 2분기 이후 G7의 평균 소비 증가율을 상회했지만 최근 둔화세가 뚜렷해지면서 1년 반 만인 작년 3분기 다시 G7에 추월당했다.

작년 3분기 한국의 소비 증가율은 OECD 38개 회원국 평균인 1.5%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OECD 회원국 평균 소비 증가율은 작년 2분기 1.7%를 기록하며 한국(1.5%)을 1년 만에 추월한 뒤 3분기에는 격차를 더 벌렸다.

지난해 한국의 더딘 민간소비 회복세는 2022년에 상대적으로 높았던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도 있지만, 고금리·고물가 장기화 기조가 주된 이유라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세계 주요국과 한국 간 소비 심리 온도 차는 새해에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유럽 등은 최근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지난 달 13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사실상 금리 인상 종결을 시사한 뒤 긴축 기조에 제약받았던 소비 심리가 살아나는 모습이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은 지난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2.4%)이 2021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오는 4월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뒤따르고 있다.

반면 한국은 최근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속도가 매우 더딘 탓에 여전히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작년 물가상승률은 3.6%로 전년(5.1%)보다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쉽게 잡히지 않는 물가는 커지는 부동산 프로젝트펀드(PF) 부실 우려에도 기준금리를 낮추지 못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 동결 직후 기자회견에서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로 충분히 수렴한다는 확신이 있을 때까지 (현 긴축기조를) 지속하겠다"며 "현실적으로 6개월보다는 더 길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