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진:셔터스톡]
일본 [사진: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정부 차원에서 가상자산 규제를 완화하고 게임사를 비롯한 일반 기업들 진출이 활발하면서 일본에 웹3 시장에서 새로운 요충지로 부상하고 있다. 홍콩에 이어 일본도 글로벌 웹3 시장에서 점점 관심을 끄는 모습이다.

지난해 7월 일본 경제산업성은 '웹3 정책추진실'을 설립했다. 웹3 관련 기업이나 인재들이 일본 내에서 사업을 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목표였다.  같은 해 '웹3.0 시대를 맞은 일본 대체불가토큰(NFT) 전략 백서'를, 올해는 '웹3 백서'를 발간했다. 

일본은 2017년 가상자산 거래소를 금융청 산하에서 관리하기 시작했고, 거래소가 일본에서 영업하기 위해선 고객신원확인, 자산 보관 분리 의무 등을 따르도록 했다. 또 금융청 산하 자율기구 일본가상자산거래업협회(JVCEA) 심사를 거쳐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된 가상자산 상장만 허용했다. 현재 76개 가상자산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됐다. 

일본 웹3 백서 요약 [사진:쟁글]
일본 웹3 백서 요약 [사진:쟁글]

가상자산 과세 정책도 완화했다. 6월 26일부로 가상자산 발행 업체들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 자체 발행 코인 미실현 이익에 대한 과세를 중단했다. 2022년 상정된 가상자산 소득세 개정안은 가상자산 소득세 최대 세율을 55%에서 20%로 경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본 게임사, 금융사 등 기업들도 웹3 사업 진출에 시동을 걸고 있다. 유명 게임 업체인 스퀘어 에닉스는  다수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 중이다. 모바일 게임 개발 업체 구미는 더블 점프 크립토에 투자하는 등 웹3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구미는 위믹스 3.0 노드 운영자로 합류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게임 특화 블록체인인 오아시스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오아시스는 일본뿐만이 아닌 컴투스 같은 국내 게임사들도 검증인으로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프트뱅크, KDDI 등 일본 주요 통신사들도 검증인으로 합류했다.

최근에는 유비소프트가 챔피언스 택틱스 게임을 오아시스 기반으로 출시한다고 밝혔고 컴투스는 서머너즈워:크로니클을 자체 메인넷인 엑스플라 뿐만이 아니라 오아시스로도 출시할 예정이다. 오아시스는 이미 일본 규제에 맞춰 인프라를 구축했기 때문에 컴투스 등 게임사가 별도 가상자산교환업 라이선스를 취득할 필요 없이 게임 출시가 가능하다.

일본 금융권은 금융상품거래법을 통해 제도권에 도입된 토큰증권을 통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SBI 증권은 자회사의 보통주와 자사 채권을 토큰증권 형태로 발행했다. 미츠비시 은행은 노무라 증권과 협업해 자산담보형 토큰증권을 공모했다.

미디어 업계에서도 웹3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 IT 미디어 업체 DMM 그룹은 웹3 자회사 DM2C를 설립해 코인무스메라는 가상 아이돌 NFT 배틀 게임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인기 일본 만화 드래곤볼, 원피스 등을 보유한 완구 업체 토에이와 일본 대형 출판사 카토카와는 각각 덴데카텐과 지립토라는 신생 IP를 활용해 NFT 시장에 도전 중이다. 

일본 블록체인 시장은 초창기이기 때문에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다는 점도 기업 입장에선 매력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풋프린트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시장 활성화 유저 수가 170만명인 반면 일본 내 블록체인 게임 활성화 유저는 200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시작 단계인만큼 시장이 발전할 잠재력이 높다는 의견이다. 

조동현 언디파인드랩스 대표는 "일본 인구가 1억2000만명인데 비해 정부의 허가를 받은 거래소 사용자 수는 500만명에 불과하다. 메타마스크 등 탈중앙화 지갑 사용자는 10만명 미만으로 추정된다. 한국 지갑 사용자가 약 100만명에 달하는 것과는 비교된다. 아직 일본 블록체인 시장은 초기인만큼 좋은 서비스를 출시하면 시장을 선점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중동, 홍콩 등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웹3에 우호적인 기류가 포착되면서 장기적으로 웹3 생태계 중심지가 아시아가 될 거란 전망도 있다.

가상자산 리서치 업체 쟁글은 "루나와 FTX 사태 이후 미국과 유럽의 웹3 규제 환경은 점점 가혹해지고 사업을 진행하는데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우호적으로 변화하는 규제 환경과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웹3 참여는 생태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