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이 기자들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이 기자들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디지털플랫폼정부 허브(DPG Hub) 등 인프라 사업을 추진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인프라 사업 추진 등을 핵심으로 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마스터플랜을 4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원래 일정은 3월까지 디지털플랫폼정부 로드맵을 마련하고, 국무회의에 보고할 계획이었다.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인프라 사업 공모 준비를 통해 이달 사업자 선정 및 착수에 들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인프라 사업의 핵심은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기반 구축 ▲애자일 혁신서비스 지원 ▲데이터레이크 활용 ▲초거대 인공지능(AI) 활용 지원이다. 누리집(NIA) 사전공개와 공모안내 게시를 거쳐 이달 사업자 선정 및 착수에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관련 공공기관·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지원 서비스 수요 조사를 지난달 실시했다. 이어 이달에는 수요조사 결과에 맞춰 매칭 지원을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4월 중 발표할 마스터플랜 및 구체적인 일정 계획에는 앞서 설명한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인프라 구현 외에도 ▲데이터 전면 개방 및 활용 촉진 ▲인공지능(AI)·데이터를 활용한 정부 업무 혁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용 환경 보장 등이 과제다. 

지난해 9월 출범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6개 분과위원회(인공지능·데이터, 인프라, 서비스, 산업 생태계, 일하는 방식 혁신, 정보보호)로 운영됐고 7개월 동안 100여회 이상 정례회의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로드맵에 반영할 과제를 초기에 140여개를 도출했고 현재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해 선별 작업을 거의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부처간 칸막이 극복한 하나의 정부 구현 ▲AI, 데이터 등 최신 디지털 기술 도입을 통해 과학적이고 투명한 정부 구현을 목표로 한다는 방침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지난 10월 개최한 워크숍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 로드맵 수립 방향과 일정,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분과별 토의를 진행했다. 위원회는 ▲AI・데이터 ▲일하는 방식 혁신 ▲산업 생태계 ▲인프라 ▲서비스 ▲정보보호 등 6개 분과를 산학연, 법조인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 로드맵을 수립했다. 로드맵의 이행력 확보를 위해 분과의 핵심 정책관련 소관 부처 국·과장, 전문기관 본부장급이 상시 참여함으로써 중점 추진과제의 완성도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었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은 지난 1월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혁신기술을 활용해 정부 운영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며 “우리나라는 전 세계가 인정하는 전자정부 강국이지만, 그 간의 성공이 앞으로의 20년의 성공을 보장하기 어려운 근본적인 한계도 내포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혁신기술을 활용해 정부 운영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 때”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어 그는 “그동안의 정보화는 각 부처와 기관들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각자가 운영하는 시스템을 고도화해왔지만 그 결과 부처 간 칸막이는 높아지고 시스템과 데이터의 연계는 더욱 어려워지는 역설적인 상황을 맞게 됐다”며 “국민을 향한, 국민을 위한 정부가 되기 위해서는 국정운영 시스템의 근본적 재설계와 새로운 민·관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