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4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경제 상황과 통화정책 방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12월 31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신년사를 통해 내년 통화정책에서 완화기조를 유지할 뜻을 밝혔다. [사진: 한국은행]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21년 신년사를 통해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2021년 경제 부문의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시장안정화에 노력할 뜻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디지털 환경 변화에 맞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비롯한 IT 관련 사업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주열 총재는 12월 3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앞으로 국내 경제가 완만히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높고 물가상승률도 목표 수준을 상당기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며 “따라서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가 안정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될 때까지 완화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에도 계속 힘써야 한다”며 “코로나19의 장기화와 이에 따른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의 전개양상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금융안정의 잠재 위험요인인 가계부채 누증, 실물경제와 자산가격 움직임 간 괴리, 한계기업 및 취약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등을 면밀히 점검·분석하고 위험 수준에 상당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정부와 긴밀히 협력할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디지털 혁신, 빅테크의 진출 확대 등으로 지급결제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관련해 가상환경에서의 파일럿 시스템 구축과 테스트를 계획대로 수행하는 한편 실시간총액결제(RTGS)를 기반으로 하는 신속자금이체시스템의 구축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하겠다. 한국은행의 지급결제 관련 역할과 책임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기반을 확립해 나가야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그동안 경제위기를 겪은 후에는 중앙은행의 역할에도 큰 변화가 뒤따랐다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는 고용안정을 한국은행 법적 책무의 하나로 명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졌다. 고용안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에서 중앙은행도 통화정책 운용 시 마땅히 고용상황을 중요한 판단 요인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나아가 통화정책 운영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현행 운영체계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운영방식이 있는지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올해 경제 상황이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해 우리 경제는 코로나19의 충격이 내내 이어지면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세계경제가 각국의 잦은 봉쇄조치와 교역감소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를 보였으며, 국내외 금융시장은 크게 동요했다”며 “국내경제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고용사정도 대면서비스업과 임시일용직을 중심으로 크게 악화됐다. 물가는 수요가 부진하고 국제유가도 하락하면서 0%대의 낮은 수준에 머물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