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올해 상반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 상승과 투자심리 회복 등으로 국내 가상자산시장 시가총액이 46%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2021년 말 대비 여전히 절반에 불과했고, 등록계정수를 비롯해 가상자산 이용자도 감소세로 집계됐다.

가상자산 신규 거래지원(상장)과 거래중단(상장폐지) 등이 모두 크게 증가했고, 가격변동성도 여전히 높아 투자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FIU는 26개 가상자산거래소(거래업자)와 9개 지갑·보관업자 등 35개 가상자산사업자가 6월 말 기준 작성·제출한 값을 집계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시장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28조4000억원으로 2022년 말(19조4000억원원) 대비 46%(9조원) 증가했다.

전반적인 주요 가상자산 가격 상승, 투자심리 회복 등에 따른 것이다.

실제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말 개당 1만6547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말에는 81% 상승한 3만441달러까지 올랐고, 글로벌 가상자산 시가총액(코인마켓캡 기준)도 1010조원에서 1540조원으로 53% 증가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그러나 '크립토 윈터'(가상자산 시장 침체기) 이전인 2021년 말과 비교하면 여전히 크게 위축된 상태다.

6월 말 기준 시가총액(28조4000억원)은 2021년 말(55조200억원)과 비교하면 48.6% 급감한 수준이다.

금융위는 "글로벌 긴축정책 완화 기대감,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예상 등으로 상반기 가상자산 투자 심리가 회복됐다"면서도 "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상반기 국내 시가총액 상위 10대 가상자산 중 비트코인(BTC)과 리플(XRP), 이더리움(ETH), 도지코인(DOGE), 에이다(ADA), 솔라나(SOL) 등은 글로벌 상위 10대 가상자산에도 포함됐다.

상반기 26개 가상자산 거래소(거래업자)의 일평균 거래규모는 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2조9400억원) 대비 1.3%(400억원) 감소했다.

원화마켓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코인마켓 일평균 거래금액은 10억원에 불과했다. 특히 코인마켓 사업자 중 일평균 거래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곳도 5개사로 집계됐다.

거래소 매출액은 지난해 하반기 5809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5천752억원으로 1%(57억원)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249억원에서 2273억원으로 82%(1024억원) 증가했다.

원화마켓이 46% 증가한 2598억원이었고, 코인마켓 역시 영업손실 금액이 530억원에서 325억원으로 줄었다.

코인마켓 사업자 21곳 중 10곳은 거래 수수료 매출이 전혀 없었고 18곳은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완전자본잠식' 상태였다.

상반기 가상자산 거래소 영업이익은 2021년 하반기(1조6400억원)와 비교하면 86.2% 감소한 수준이다.

대기성 거래자금인 이용자 원화예치금은 6월 말 기준 4조원으로, 지난해 말(3조6000억원) 대비 11%(4000억원) 증가했다.

상반기 거래소 일평균 거래금액(2조9000억원)과 원화 예치금(4조원)은 2021년 하반기의 11조3000억원, 7조6000억원과 비교하면 각각 74.4%와 47.4% 감소한 수준이다.

거래소 종사자수는 6월 말 기준 1915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8.5%(178명) 줄었고, 자금세탁방지(AML) 업무 관련 인원은 9.7%(29명) 감소한 269명이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거래 중인 가상자산은 1399개(중복 포함)로 2022년 말(1362개) 대비 2.7%(37개) 증가했다.

다만 거래소 중복상장을 제외한 국내 유통 가상자산은 622종으로 0.5%(3종) 줄었다.

상장 가상자산 622종 중 366종은 국내 거래소 1곳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었고, 이중 절반인 183종은 한국인이 발행한 가상자산 또는 국내 사업자에서 주로 거래(80% 이상)되는 국내산 가상자산, 이른바 '김치코인'이었다.

단독상장 가상자산 중 34%인 124개는 시가총액 1억원 이하 소규모 가상자산으로, 급격한 가격변동과 유동성 부족 등 시장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상반기 신규 거래지원(상장) 가상자산은 169건(중복 포함)으로 작년 하반기(74건) 대비 128% 급증했다.

원화마켓 신규 상장이 184% 늘어난 91건, 코인마켓은 86% 증가한 78건이었다.

반면 상반기 상장폐지된 가상자산 역시 작년 하반기(78건) 대비 47% 늘어난 115건(중복 포함)에 달했다.

프로젝트 위험(54%), 투자자 보호 위험(24%), 시장 위험(20%), 기술 위험(2%) 등의 사유가 제시됐다.

중복제거한 상장폐지 가상자산 88종 중 3분의 2인 66%(58종)는 1개 거래소에 단독상장된 가상자산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가상자산은 154건(중복 포함)으로 작년 하반기(109건) 대비 41% 증가했다.

상반기 가상자산 가격 변동폭(MDD·최고점 대비 가격하락률)은 62%로 작년 하반기(67%) 대비 5%포인트(p) 감소했다.

국내 신고 사업자의 가상자산 외부 이전(출고)액은 상반기 29조7000억원으로 이중 트래블룰(신고사업자에 100만원 이상 이전)이 적용된 금액은 6조600억원이었다.

사전 등록(화이트리스트)된 해외사업자 또는 개인지갑 주소로 1회 100만원 이상 이전(출고)된 규모는 상반기 22조1000억원으로 작년 하반기 대비 2.4%(5조원) 증가했다.

주로 차익거래 등을 위해 가상자산을 해외로 이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690만명에 달했던 가상자산 이용자 수는 올해 6월 기준 606만1632명으로 줄어들었다. 2022년 말(627만2676명)과 비교해서는 3% 감소한 수치다.

휴면계정이 증가하면서 등록 계정 수는 이용자 수보다 감소 폭이 더욱 컸다. 지난해 말 기준 1천177만6천115개에서 올해 6월 말 949만5013개로 19% 줄었다.

가상자산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연령대는 30대(181만명)로, 전체(606만명)의 30%를 차지했다.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당시와 동일했다.

30대에 이어 40대 174만명(29%), 20대 이하 115만명(19%), 50대 103만명(17%), 60대 이상 33만명(5%) 순으로 이용 비중이 높았다.

이용자의 67%에 달하는 403만명은 가상자산 시장 가치로 50만원 미만을 보유했다.

반면 1000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8%(49만명)로 지난해 말 대비 2%포인트(p) 증가했다. 1억원 이상 보유한 이용자는 4만4000명으로 비중은 지난해 말 대비 0.3%p 늘어난 0.7%였다.

가상자산 지갑 및 보관 사업자 9개사의 수탁고는 올해 6월 말 기준 3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9%(7000억원) 늘어났다.

매출액은 198억원으로 2022년 말 대비 48%(180억원), 영업이익은 35억원으로 71%(83억원) 각각 감소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