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개발한 전장용 파워인덕터, 가로 2.0mm, 세로 1.6mm로 작은 형태를 띠고 있다 [사진: 삼성전기]
삼성전기가 개발한 전장용 파워인덕터, 가로 2.0mm, 세로 1.6mm로 작은 형태를 띠고 있다 [사진: 삼성전기]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삼성전기가 전기차·자율주행차 필수 핵심 부품인 파워인덕터 양산으로 본격적인 전장용 파워인덕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가 내걸었던 '전장 부품 역량 강화'에 힘을 보탤 수 있을지 관심이다.

삼성전기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차 카메라에 탑재되는 파워인덕터를 양산한다고 16일 밝혔다. 삼성전기가 전장용 파워인덕터를 양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파워인덕터는 배터리로부터 오는 전력을 반도체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시켜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자부품이다. 전류를 제어해 공급한다는 점이 유사해 '제2의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라고 불린다. 특히 차량 한 대 당 필요한 수가 100여개로 스마트폰 대비 2배를 넘고 있어, 사용처 확대에 따라 2030년 차량 내 파워인덕터 수가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파워인덕터는 2016크기(가로 2.0mm, 세로 1.6mm)에 각각 1.0마이크로헨리(uH), 2.2uH 용량을 갖춘 제품 2종이다. 이 제품은 자율주행 정보를 처리하는 반도체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한다.

보통 파워인덕터 성능은 원자재인 자성체와 내부에 감을 수 있는 코일(구리선) 수에 결정된다. 성능을 높이려면 자성체 특성 개선과 한정된 공간에서 더 많은 코일을 감아야 한다.

삼성전기는 기판 위 얇은 코일을 형성한 박막형 제품으로 이를 개발했다. 이 방식은 자성체에 코일을 감는 권선형 대비 생산성이 높고 소형화하기 쉽다. 아울러 반도체 기판 제조에 사용하는 감광공법을 적용, 코일을 미세한 간격으로 정밀하게 형성해 품질을 높였다.

차량 신뢰성을 위한 자동차 전잡 부품 신뢰성 시험 규격 'AEC-Q200'도 만족했다. 이에 따라 차량 카메라 외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인포테인먼트 등 다른 응용처에도 사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번 제품 개발은 삼성전기가 IT 전방 시장 악화로 맞이한 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전장 부품 사업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12월 파워인덕터를 담당한 전자소자팀을 '전자소자사업팀'으로 격상하는 조직개편을 단행, 본격적인 사업 확대에 나선 바 있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도 꾸준히 전장에 대한 역량 집중을 강조해왔다. 장 사장은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MLCC, 카메라모듈, 반도체 기판 등 주력 사업에서 서버·전장 등 성장산업에 역량을 집중해 사업구조를 다변화하고, 로봇·에너지 등 미래 시장에 대한 준비도 단계적으로 병행해 초일류 테크(Tech) 부품회사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삼성전기에 따르면 파워인덕터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약 36억5000만달러로 연평균 약 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기능 고도화로 차량 반도체 탑재가 늘고 고성능화 되면서 파워인덕터 수요도 덩달아 늘어난 덕분이다. 이 중 전장용 파워인덕터 시장은 연평균 약 12%로 고성장할 것으로 예견된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는 "파워인덕터는 자율주행 및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고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삼성전기는 소재와 기판 등 기술 융복합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파워인덕터를 '제2의 MLCC'로 육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삼성전기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