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청년도약계좌 협약식에서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왼쪽 세번째부터)과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시중은행 대표들이 서명한 협약서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12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청년도약계좌 협약식에서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왼쪽 세번째부터)과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시중은행 대표들이 서명한 협약서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오는 15일 '청년도약계좌' 출시를 앞두고 주요 시중은행들이 치열한 눈치 싸움 속에 적정 금리 수준을 선뜻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8일 잠정 금리를 공시한 뒤 당국과 여론으로부터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이 너무 까다롭다', '기본금리보다 우대금리 비중이 너무 크다' 등의 지적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결국 5대 은행은 모두 기본금리를 0.5%포인트(p) 올리는 대신 우대금리를 0.5%p 깎아 가입자들이 높은 금리를 좀 더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조정할 방침이다.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조차 낮추지 않고 최고 금리 자체를 6.5%로 높일 예정인데, 기업은행을 비롯한 이들 '6.5%' 은행은 쏠림에 따른 대규모 손실을 막기 위한 장치를 금융당국에 요구하고 있다.

◇ 기본금리 비중 늘리고 카드 실적 등 우대금리 조건 완화도 검토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현재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를 4.0%로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지난 8일 잠정 금리 공시 당시 이들 은행이 공통으로 내놓은 기본금리(3.50%)와 비교해 0.50%p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동시에 다수 은행은 여러 조건을 달아 책정한 최대 우대금리를 지난주 공시 당시 2.00%에서 1.50%로 낮춰, 소득 조건별 최대 우대금리 0.50%p까지 더한 최고 금리 수준을 6.00%로 유지할 계획이다.

당국 등의 요청대로 기본금리 비중은 늘리고(58.3→66.7%), 우대금리 비중은 줄이면서도(33.3→25.0%) 지나친 역마진을 고려해 최고 금리가 6%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는 뜻이다.

아울러 과도한 카드 결제 실적 등을 우대금리 조건으로 내걸었던 은행들의 경우 조건을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 6.5% 주는 은행들 "대규모 손실 우려…가입자 수 상한 설정해달라"

아직 소수지만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 2.00%p를 그대로 둔 채 기본금리만 0.50%p 올려 최고 금리를 6.00%에서 6.50%(4.00+0.50+2.00%)로 상향 조정하는 안도 준비하고 있다.

지난주 이미 기본금리와 소득·은행별 우대금리를 더해 6.50%(4.50+0.50+1.50%)를 제시한 기업은행과 같은 수준이다.

만약 현재 검토 중인 안대로 오는 14일 확정 금리가 공시될 경우, 청년도약계좌 시장은 최고 6.5%를 보장하는 소수 은행과 최고 6.0%를 고수한 다수 은행으로 나뉘게 된다.

이 경우 앞서 지난해 비슷한 성격의 청년희망적금 판매 당시 확인된 것처럼, 불과 0.1∼0.2%p라도 더 주는 은행으로 가입자가 몰려 결국 해당 은행은 최대 수천억원 규모의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은행권은 개별 은행의 가입자가 일정 기준에 이르면 판매를 종료할 수 있는 '가입자 수 상한'을 설정해달라고 금융당국에 요청한 뒤 답을 기다리고 있다.

◇ 당국 눈높이보다 여전히 낮아…"사회공헌 측면에서 긍정적 검토해달라"

하지만 주요 은행들이 현재 검토하는 안대로 기본금리를 다소 올려도, 당국의 눈높이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개인적으로는 기업은행이 기본금리를 4.5%로 제시했고, 한 곳만 너무 높으면 쏠림 문제도 있으니 다른 은행들도 기본금리를 그 정도 수준으로 조정하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은행들이 역마진을 이야기하는데, 사회 공헌의 측면이 있는 만큼 좀 더 긍정적으로 검토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당국 입장에서는 젊은 세대에게 가장 친숙한 인터넷은행들이 이번 청년도약계좌 판매에 동참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부분이다.

당초 금융당국은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에도 청년도약계좌 출시를 권유했지만, 한목소리로 "대면 업무를 처리할 오프라인 지점이 없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당국과 여론을 의식한 인터넷은행들은 관련 계획을 묻자 공통으로 "추후 참여를 검토할 수 있다"고 여지를 뒀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