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중소벤처기업부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는 샘 알트만 오픈AI CEO [사진: 연합뉴스]
9일 중소벤처기업부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는 샘 알트만 오픈AI CEO [사진: 연합뉴스]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은 인간의 일자리 박탈로 이어지는 생존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경제 발전의 황금기를 불러 올 것이다."

AI 챗봇 챗GPT(ChatGPT)를 개발한 미국 오픈AI 경영진은 소프트뱅크벤처스가 9일 서울 63스퀘어에서 개최한 '파이어사이드 챗 위드 오픈AI' 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 AI 개발자와 연구원 등 업계 종사자와 기업인, 창업자, 대학생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오픈AI 측에서는 설립자인 샘 알트만 최고경영자(CEO)와 그렉 브록만 공동창립자가 참석했다. 행사는 두 사람이 이준호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 조경현 미국 뉴욕대 교수와 함께 AI 기술에 따른 우려와 기회를 논하는 대담 형식으로 진행됐다.

오픈AI 경영진은 오픈AI의 설립 취지와 비전, 저작권·일자리 박탈에 따른 우려 등에 대한 의견을 드러냈다.

그렉 브록만 공동창립자는 "오픈AI는 AI 러닝 기업으로, 어느 한 분야에만 AI기술 역량을 쏟겠다는 목표는 없었다"며 "초기에는 로보틱스나 비디오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자원을 투입해왔다. 그러다 타 분야에서는 지속적인 개발이 특정 초점에만 한정되는 한계점을 발견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개선 여지가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로 선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해 챗GPT의 학습효과를 점점 강화하고 있다. 사람들의 활용 방식을 보며 모델을 더욱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의 최종 목표는 실리콘밸리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닌, AI 기술을 전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샘 알트만 대표 역시 "인재를 채용할 때도 비전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시작했고 점점 규모를 확장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불확실한 점도 있었지만, 반드시 성공할 것이란 믿음이 있었다"며 "3단계에 걸쳐 고용 전략을 시행했고 지금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AI에 대한 각국 정부 인식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샘 알트만 대표는 지난 4월부터 일본,캐나다, 브라질, 프랑스, 이스라엘, 카타르 등을 방문해온 바 있는데, 예상 대비 AI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다고 전했다.

알트만은 "월드 투어 시작 당시에는 개발자들과 접촉해 챗GPT 활용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예정이 바뀌어 외교 일정으로 변했다"며 "예상과 달리 많은 국가 정상들이 AI 잠재성과 혁신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브록만도 "AI 공동체 내에서는 이 기술에 대해 국제적 공조가 필요하다는 것을 각국이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다는 의구심이 많았다. 이로 인해 국제기구 등 조직 설립이 힘들 것으로 봤는데, 이와 달리 협력 의지가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소프트뱅크벤처스 행사에서 샘 알트만 최고경영자(CEO), 그렉 브록만 공동창립자, 이준호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 조경현 미국 뉴욕대 교수가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소프트뱅크벤처스 행사에서 샘 알트만 최고경영자(CEO), 그렉 브록만 공동창립자, 이준호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 조경현 미국 뉴욕대 교수가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디지털투데이]

아울러 그동안 AI가 불러올 부정적 여파에 대한 걱정도 기우일 것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AI가 긍정적인 면이 훨씬 많은 데다, 그동안 없었던 기술인 탓에 우려가 많을 뿐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브록만은 "AI 기술이 없었더라면 사회가 지금 단계에서 더욱 발전할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 이 기술은 향후 몇년에 걸쳐 상세한 부분까지 발전해나갈 텐데, 이와 함께 다른 기술을 발달시켜 긍정적 효과를 이끌어내는 게 더욱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I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기는 쉬운 반면 긍정적인 요소를 찾아내기는 어려운 듯 하다"며 "미래를 고려한다면 AI가 필요한 이유를 염두에 두고, 현실 및 사회적 문제와 타협점을 찾아나가며 균형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알트만은 AI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기회 요소에 주목했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도구로 활용되는 것이며, AI 발전으로 또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AI가 그동안 거쳐온 산업혁명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다.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뿐, 미래의 창의력 발전에 따라 다른 일자리가 탄생하는 등 양상이 갖춰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문제가 있다면 기술 발전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다. 인간이 통상 2세대에 걸쳐 문명에 적응해온 만큼, 10년만에 기술이 발전한다면 디지털 격차 등 사회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따라서 AI의 부정적 영향보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소할 것이냐를 더 중요하게 바라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콘텐츠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 AI 이미지 문제에 대해서는 "콘텐츠 원작자에 수익이 돌아가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브록만은 "사회적으로 봤을 때 제작자가 이득을 봐야한다. 이같은 매커니즘을 찾기 위한 실험이 필요하 이유다. 이를 위해 각종 실험과 함께 아티스트 등과 논의를 나누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AI는 활동적인 제작 활동에 더 의미가 있는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트만은 AI로 인한 교육의 변화에 대해서는 "AI 기술이 생존의 문제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경제 발전 황금기를 불러올 것"이라며 "AI 툴을 이해하고, 새로운 것을 빠르게 학습하려는 즐거움을 배워야한다"고 전했다.

두 사람은 앞서 오전에 진행한 중소벤처기업부 'K-스타트업 밋업 오픈AI' 행사에도 참여해 AI 미래와 한국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오픈AI는 이번 방한을 계기로 챗GPT 활용 방법에 대한 기업의 목소리를 듣는 한편, 국내 딥테크 스타트업과 함께 다양한 협력 기회를 찾아볼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