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욱 산업부 장관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문승욱 산업부 장관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정부가 일본수출 규제 이후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 강화를 목표로 도입한 '소부장 협력모델' 성과 점검에 나섰다. 이를 위해 배터리 소재를 국산화한 기업을 방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문승욱 산업부 장관이 율촌화학을 방문해 성과를 점검하고 관련기관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포장재 전문 제조업체인 율촌화학은 일본수출 규제가 발생한 이후 국내 배터리 셀 업체와 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를 국산화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는 각 소재를 쌓은 스택형(Stacking) 전극을 감싸는 필름이다. 이 소재는 일본 DNP와 쇼와덴코가 독점하고 있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율촌화학의 파우치 국산화와 함께 파우치 생산장비도 국산화됐다. A사가 서보모터와 컨트롤러 등을, 장비기업 B사가 생산장비를 개발했다. 부품·장비 성능평가는 기계연구원과 국내 배터리 셀 업체가 참여했다. 국내 배터리 셀 업체는 파우치 소재개발과 파우치 생산을 위한 율촌화학 파우치 수요 파트너로서도 참여했다.

정부는 지난 2019년 11월 소부장 협력모델을 첫 도입한 이후 100대 핵심 전략품목 중심으로 현재까지 총 45개의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2025년까지 약 3800억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하고 환경·노동 등 규제특례, 세제, 정책금융 등을 패키지로 지원 중이다.

소부장 협력모델은 현재 진행 중인 모든 과제까지 모두 종료될 시 설비투자, 해외 인수·합병(M&A) 등 2조4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발생과 약 3700명의 고용효과, 국내 생산 약 3조원의 성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일본 수출규제 이후 100대 핵심품목에 대한 국내 소부장산업은 매출이 늘고 대일 의존도가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일본이 수출규제한 3대 품목인 불화수소, EUV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등의 수급차질은 발생하지 않았고, 2019년 30.9%였던 100대 핵심품목 의존도는 지난해 24.9%로 약 6%p 줄였다.

문승욱 장관은 "지난 2년여 시간은 우리 소부장 산업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 공급망,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직면환한 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소부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